[더팩트ㅣ정인지 기자] 지난 5년간 학교 급식 노동자 14명이 폐암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 노동자들은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은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급식실 내 유해 환경으로 14명이 사망했는데도 정부로부터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비노조에 따르면 지난 2021년부터 지난달까지 폐암으로 사망한 급식 노동자는 14명이다. 같은 기간 208명이 폐암으로 산재를 신청해 175명이 근로복지공단에서 산재를 승인받았다.
학비노조는 "환기설비 전면 개선을 위한 예산을 수립하고, 폐암 산재에 대한 조속한 보상체계를 마련해달라"며 "적절한 노동 인력이 충원되지 않으면 폐암으로 산재를 신청하는 노동자와 사망자는 계속 늘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조리흄(음식 조리 시 나오는 연기)을 유해물질로 지정하고, 급식 노동자들이 특수건강검진을 받아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폐에 이상소견이 있다면 추적 관리하고, 이상이 없더라도 폐활량 검사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해 막연한 불안감으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폐암 확진 당사자의 발언도 이어졌다. 조합원 A 씨는 "학교 급식실에서 19년간 일한 뒤 정년퇴직하고, 다시 급식실에서 대체인력으로 일했다"며 "폐 CT를 찍을 기회가 있어서 검사했더니 폐암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했다.
A 씨는 "'아이들을 위한 밥을 만든다'는 자부심 하나로 일했는데 지금은 병밖에 남은 게 없다"면서 "산재 신청을 했지만 공단에선 아무런 연락이 없고, 치료비는 자비로 부담하고 있다. 너무 힘들고 억울하다"고 토로했다.
학비노조는 기자회견 직후 국정기획위원회 사무실에서 정부 관계자와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들은 간담회에서 △학교 급식실 종합 대책안 마련 △방학 중 비근무자 생계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inji@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