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설상미 기자] 서울시는 4일 지난해 약자동행지수가 130.6으로 전년 첫 평가 111.0보다 17.7% 상승했다고 밝혔다. 기준연도인 2022년(100)과 비교하면 30.6% 높아진 수치로 2년 연속 상승세다.
약자동행지수는 △생계·돌봄 △주거 △의료·건강 △교육·문화 △안전 △사회통합 등 6대 영역, 총 50개 세부지표로 구성된다.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과 정책 체감도를 다각도로 분석해 수치화한 것이 특징이다.
영역별 결과를 살펴보면 △의료·건강(156.5) △안전(148.9) △생계·돌봄(127.8) △교육·문화(111.3) 등 시민 일상과 밀접한 영역은 상승 흐름이 나타났다. 반면 전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던 주거(120.3)와 전년에도 다소 낮은 수준에 머물렀던 사회통합(95.6) 영역은 소폭 하락했다.
전체 6개 분야 중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지수는 의료·건강영역이다. 2023년 120.1에서 지난해 156.5를 기록했다.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와 치매, 정신건강 문제와 같은 사회적 위험에 발 빠르게 대응한 결과로 분석된다.
두 번째로 지수가 높게 나타난 영역은 안전영역이다. 총 9개 중 6개 지표가 상승하면서 2023년 124.9에서 지난해 148.9를 기록했다. 특히 '고립·은둔 청년 발굴·지원 규모'는 전년 대비 약 60% 늘어 해당 영역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됐다.
생계·돌봄도 12개 중 9개 지표가 개선돼 2023년 100.8에서 지난해 127.8로 높아졌다.
교육·문화영역은 서울런, 사회적 약자 문화활동 지원 등 주요 정책 성과에 힘입어 2023년 98.4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100을 넘은 111.3을 기록했다. 8개 세부 지표가 모두 개선, 뚜렷한 반등세를 보였다.
반면 주거, 사회통합영역 등에서는 하락세를 보였다. 2023년 큰 상승세를 보인 주거영역 지수는, '주거 취약계층 주거상향 지원 규모' 확대 등 주요 지표에서 개선 성과가 있었으나 일부 지표가 하락해 지난해(120.3)에는 소폭 하락했다.
사회통합영역 지수 역시 2023년 97.9에서 지난해 95.6으로 소폭 떨어졌다. 코로나 후 확산된 사회적 신뢰 저하 영향으로 '서울시민의 자원봉사 참여율'과 '기부 경험률' 등 일부 지표가 하락했다. 반면 '서울시민의 동행 인식 수준', '정보 취약계층 공공기관 정보접근성'은 상승했다.
시는 약자동행지수 고도화를 통해 변화하는 사회환경과 시민의 다양한 행정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정책 체감도를 높여 약자와의 동행을 한층 더 확장하는 동시에 시민 일상 깊숙이 정착시켜 나갈 예정이다.
시는 올해 약자와의 동행 가치를 이어가기 위해, 관련 예산을 전년보다 1조 883억 원(8.0%) 늘린 14조 7655억 원을 반영했다. 전체 예산 대비 약자동행사업 비중도 2024년 29.9%에서 올해 30.7%로 상승했다.
정상훈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약자동행지수는 약자와의 동행이 구호를 넘어 시민 일상을 변화시키고, 서울시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일상의 변화를 더욱 확산하고,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까지 꼼꼼히 살펴 약자와의 동행을 변함없이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snow@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