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윤경 기자] 충남 한국서부발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충현 씨의 사망 사고와 관련해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대책위원회가 출범했다. 대책위는 대통령실 앞에서 무기한 투쟁에 돌입하기로 했다.
100여개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는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 조사와 책임자 처벌,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등 정부와의 대화 테이블이 마련될 때까지 대통령실 앞 무기한 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지난 6일 요구안을 전달했는데 아직 어떤 연락도 오지 않고 있다"며 "그새 한국서부발전은 하청사를 단속하며 근로 감독을 대비하고 있고, 고용노동부는 당사자를 배제한 채 진상 규명을 하겠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모든 일을 신속하게 한다는 이재명 대통령이 이 문제에 대한 답만은 늦게하고 있다"며 "오는 14일 용산 앞에서 투쟁 문화제를 진행한 후 다음 주부터는 태안에서 용산으로 투쟁 장소를 옮길 계획"이라고 했다.
또 "발전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8월 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대책위는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함께 하겠다"면서 "사측에는 근로 감독에 대비할 시간을 주면서 대책위의 참여를 배제하는 고용노동부 천안지청을 규탄하는 투쟁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했다.
아울러 대책위는 "한국서부발전과 한전KPS를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고소·고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임의로 작업했다'는 한전KPS의 말이 거짓말이었음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며 "김 씨의 카카오톡 메시지에는 한전KPS로부터 지시받은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이 빼곡하게 기록돼 있었다"고 주장했다.
김 씨는 지난 2일 오후 태안화력발전소 내 한전KPS 태안화력사업소 기계공작실에서 홀로 작업을 하다가 끼임 사고로 인해 숨졌다. 사고 현장은 한국서부발전이 한전KPS에 임대한 공간으로 알려졌다.
고용노동부는 태안화력발전소와 작업 방식 및 설비가 유사한 전국의 석탄화력발전소 15곳과 그 협력 업체에 대한 감독을 개시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사망 사고가 발생한 한국서부발전 태안발전본부, 한전 KPS, 협력업체에 대해선 특별 감독에 준하는 강도 높은 감독에 착수했다. 경찰도 전담수사팀을 편성해 사고 원인 조사를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