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고 싶은 직장' 조건 1순위는…"신뢰와 공정"
  • 박은평 기자
  • 입력: 2025.06.08 12:00 / 수정: 2025.06.08 12:00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조사관 1434명 설문조사
일하고 싶은 회사가 되기 위해 불신을 일으키는 차별·괴롭힘 없는 조직 문화가 필요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더팩트 DB
일하고 싶은 회사가 되기 위해 '불신을 일으키는 차별·괴롭힘 없는 조직 문화'가 필요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일하고 싶은 회사가 되기 위해 '불신을 일으키는 차별·괴롭힘 없는 조직 문화'가 필요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앙노동위원회는 5월 8~15일 위원·조사관 총 14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하고 싶은 직장 설문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직장의 분쟁 예방·해결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직장 내 신뢰 문화 구축'이 73.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노동위원회 등 외부 전문가 지원체계)11.5%), 직장 내 법규범의 확립(8.9%), 임금·근로조건 개선(6.6%) 순이었다.

일하고 싶은 직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요소로는'차별·괴롭힘 없는 조직문화'라는 응답이 44.7%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성과에 따른 공정보상(36.6%), 능력의 발휘와 개발(11.4%), 유연한 출퇴근과 명확한 업무(7.3%)였다.

함께 일하고 싶은 동료로는 '원만한 인간관계'를 가진 사람이 38.8%를 차지했다. 상사·동료들로부터 인정 받는 업무능력(27.9%),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확보 및 전파(16.7%), 동료의 어려운 일을 돕는 배려(16.6%) 순이었다.

일하고 싶은 직장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노동위원회의 분쟁해결 지원 방식으로는 '알기 쉬운 법률정보 제공·상담'이라는 응답이 35.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이견을 해소하는 화해'(30.5%) 였다.

노동위원회 기능 강화를 위해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55.2%가 '화해와 조정의 활용도 제고'를 꼽았다. 조사관과 상임위원 증원(34.7%), 조사보고서 등 초안 작성에 인공지능(AI) 활용(19.7%), 전자송달 시스템 구현(1.4%)이라는 응답도 뒤따랐다.

김태기 중노위 위원장은 "새 정부의 등장과 함께 경제가 살아나도록 하려면 일하고 싶은 직장이 되도록 구성원들의 신뢰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pepe@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 ※ 이 기사는 팬앤스타에 제공되고 있습니다. 댓글 2개 보러가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