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설상미 기자] 홀로 거주하는 어르신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등을 돌보는 '스마트돌봄서비스'가 더 똑똑해진다.
서울시복지재단 고립예방센터는 27일 맞춤형 스마트돌봄서비스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스마트돌봄서비스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돌봄으로 일상에서 발생하는 △전력 △통신 △조도 등 생활데이터를 AI(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가 24시간 감지·분석해,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관련 기관이 직접 안부를 확인해 고독사 등을 예방하는 복지서비스다.
스마트돌봄서비스는 각 서비스별로 감지하고 수집하는 데이터가 상이하기 때문에, 개인의 특성과 성향, 행동 패턴에 기반해 맞춤형으로 제공할 경우 더욱 섬세한 돌봄 관리가 가능하다. 시는 그간 6가지 스마트돌봄서비스 가운데 자치구별로 선택해 도입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왔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을 규칙적으로 사용한다면 전력데이터를, 휴대폰 통화와 앱을 자주 사용한다면 통신데이터 기반한 스마트돌봄서비스를 적용해 더 정확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안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센터는 우선 올해 안에 스마트돌봄서비스별 활용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용자 인터뷰를 실시, '적합성 조사항목'을 마련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실제 조사를 통해 조사항목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후 스마트돌봄서비스 적합성 가이드라인을 개발을 완료한다.
개발한 가이드라인은 자치구가 시민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시는 이를 통해 개인별 생활패턴에 맞춘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더욱 정밀한 돌봄 관리와 고독사 예방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수진 서울시고립예방센터장은 "스마트돌봄서비스가 고독사를 더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개인 맞춤형 스마트돌봄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