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채원 기자] 교원 10명 중 4명은 교직경력 5년 미만인 저연차 교사가 교직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로 '교권 침해'를 꼽았다. 차기 대통령이 우선 추진해야 할 교육 정책으로는 교권 보호·보장이 1위를 차지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는 12일 '2025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스승의 날을 기념해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 559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교원들은 최근 저연차 교사 이탈 현상에 대해 90.0%가 심각하다(매우 심각 51.6%, 다소 심각 38.4%)고 응답했다. 저연차 교사 이탈의 주요 원인으로는 교권 침해(40.9%), 사회적 인식 저하(26.7%), 업무 강도 대비 낮은 보수(25.1%) 순으로 진단했다. 저연차 교사 이탈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 방안으로는 교권 보호 법·제도 마련(37.3%), 보수 및 수당 현실화(34.8%)를 우선적으로 요구했다. 차기 대통령이 우선 추진해야 하는 정책(3개 선택)으로도 교권 보호·보장(23.6%), 교원 처우 개선(19.3%),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등 교육여건 개선(17.9%), 교원의 비본질적 행정업무 분리·폐지(11.6%) 순으로 제시됐다.
최근 교대 선호도가 낮아지고, 저연차 교사들의 이탈 의향이 높아지는 등 교직 기피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해 9월 종로학원과 대학정보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직전 해 전국 10개 교대와 3개 초등교육과를 다니다 그만둔 학생은 총 667명으로 집계됐다. 5년 전인 2018년 153명의 4.4배 수준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지난해 말 발표한 통계에서도 저연차 초등교사 중 '교직 이탈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교사는 2021년 39.7%, 2022년 48.6%, 2023년 59.1%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한국교총은 "악성 민원과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 수 차례 개악으로 사라진 연금 메리트, 수년째 이어지는 물가 대비 마이너스 수준 보수 인상 등으로 저연차 교사의 교직 이탈·예비교사의 교직 기피가 심화하고 있다"며 "우수 인재가 교직에 들어오고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권 보호와 처우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권 보호와 교육 여건 개선을 바라는 현장의 목소리가 절실하다"며 "교원이 학생 교육에 전념하고 학교가 교육기관으로서 본연의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정부, 국회, 사회가 함께 협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chaelo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