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채원 기자] 교육부와 광역자치단체가 오는 24일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1차 신청을 받는다. 대상자는 13개 광역자치단체 저소득층과 장애인으로 접수기한은 내달 14일까지다.
23일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부터 이용권 발급 주체가 중앙정부에서 광역자치단체의 장으로 바뀌었다. 올해 지원대상은 저소득층 성인(19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우선), 장애인(19세 이상 등록장애인), 신설노인(65세 이상), 신설디지털 관련 평생교육 수강 희망자(30세 이상) 등"이다. 지원 규모는 지난해 대비 3만6000명 늘어난 약 11만5000명으로 확대됐다.
먼저 서울·부산 등 13개 광역자치단체가 저소득층 성인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과 등록장애인을 대상으로 1차 신청접수를 받는다. 충북, 전북, 경북, 제주 등 4개 광역자치단체와 노인·디지털 이용권 신청접수 일정은 추가 준비를 거쳐 6월 중 별도 공고할 예정이다.
이용권 신청은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일반 이용권 대상)과 '보조금24’ 누리집(장애인 이용권 대상)에서 가능하다. 학습자는 이용권으로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 평생교육시설, 평생직업교육학원 등에서 자격증 취득, 창업, 어학, 인문학, 인공지능(AI)·디지털 분야 등 다양한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 이용권 사용기관으로 등록된 기관 내에서는 지역 구분 없이 수강이 가능하다.
평생교육이용권은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격차를 완화하고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다. 지난해까지 일반(저소득층 대상)과 장애인 이용권의 두 가지 유형을 지원했지만 올해부터는 노인 이용권과 디지털 이용권(인공지능·디지털 커리어 점프 패스)을 신설해 총 4개의 유형으로 확대 지원한다. 지원액수는 연간 35만 원(최대 70만 원), 총 362억 원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사회 환경과 기술이 급격하게 변화해 성인의 지속적인 역량 개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국민 누구나 평생학습을 통해 더 발전할 수 있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