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채원 기자] 교육부는 21일 내년 의과대학 모집인원 확정 후 의대생들의 복귀를 놓고 "이달 말까지는 기다려보겠다"고 밝혔다.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파악한 후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추후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해 2월 발생한 의정갈등 이후 처음으로 의대생들과 공식 만남을 갖는다. '0명 증원'에도 의대생과 의사 단체가 강경 모드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수업 참여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지 주목된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17일 2026년 의대 '0명 증원' 발표 이후 학생들의 복귀 상황과 관련해 "수업 참여 추이는 봐야하는데 지난번 안내한 후 시간이 많이 지난 것은 아니라서 좀 더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며 "4월 말까지 기다려 볼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15일 기준 의대생들의 평균 수업 참여율은 예과생 22.2%, 본과생 29%로 20%대에 불과하다. 각 의대에서 정원 동결을 명분으로 학생들의 복귀를 독려하고 있는 만큼, 복귀율이 높아진다면 내년도 24·25·26학번 동시수업(트리플링) 우려는 해소할 수 있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교육부는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3058명으로 확정적이며 학사유연화는 없다고 못박았다. 구 대변인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에서도 결의했듯 수업일수 부족으로 유급이 되는 것"이라며 "학기 말 최종 유급 통지 전 유급 면제는 없다는 게 학장들의 입장"이라고 전했다. 의대협회는 앞서 32개 의대 본과 4학년 유급 예정일을 공지한 바 있다. 이날은 가천대, 가톨릭관동대, 을지대, 원광대와 인제대 의대 △ 22일 한림대와 한양대 의대 △26일 가톨릭대 의대, △ 28일 경북대, 계명대와 영남대 의대 △ 29일 충북대 의대 △ 30일 동국대 의대 총 13개 의대가 유급 여부 결정을 앞뒀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전 규모로 되돌렸지만 의정갈등은 좀처럼 해소될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 전국 40개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필수의료패키지 철회 등 요구가 관철되기 전까지 수업을 계속 거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은 전날 열린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궐기대회'에서 "의학 교육은 무너졌고 현장은 혼란뿐인데도 정부는 책임 있는 해명도, 수습책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며 "후배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우리가 명분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필수의료패키지 정책 주무부처는 보건복지부인 데다, 의대생들의 낮은 수업 참여율에도 의사단체의 모집인원 확정 요구를 수용한 만큼 교육부로서는 더 물러설 여지가 없는 상황이다.
교육부는 직접 대화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이 부총리는 오는 22일 오후 의대생 20여명을 만나 이들의 애로사항 등을 듣는다. 구 대변인은 "학생들이 수업에 복귀하는데 어떤 것이 도움이 될지, 24 ·25학번 동시수업(더블링)과 관련해 교육부가 어떤 대책을 갖고 있는지, 학생들은 어떤 애로가 있는지 듣고 아이디어를 나눌 예정"이라고 알렸다. 구 대변인은 "의료정책학교 주최 행사인 만큼 학교 소속 학생들 또는 신청을 통해 일반대상 학생들도 참여할 것"이라며 "의대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많이 오지 않을까"라고 예상했다. 사실상 정상 수업이 불가능한 트리플링 상황을 막기 위해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으로 읽힌다. 전국 40개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서는 참석하지 않는다.
의료정책학교는 의료정책 이해를 토대로 정책 대안을 만들어 정부·정치권·사회에 설득력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의료정책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단체다. 사직 전공의와 의대생이 주축이 돼 교과 과정 등 학사 운영 전반을 직접 기획했고, 초대 교장은 최안나 대한의사협회 전 대변인이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