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채원 기자] 2027년부터 대학 수학능력시험 출제기관인 한국과정평가원(평가원)이 주관하는 9월 수능 모의평가 시기가 8월로 앞당겨진다. '9모'가 아닌 '8모'가 되는 것이다.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라 대입전형의 모집단위별 반영과목도 미리 알 수 있다.
교육부는 15일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에 따라 입시를 준비하게 될 학생을 대상으로 △2028학년도부터 조정되는 하반기 수능 모의평가 일정 △2028학년도 대입전형 반영과목 △2028학년도 수능 예시문항 문제지(국·수·사·과) 등을 안내했다. 2028년도 수능 응시 대상은 현 고1 등에 해당한다.
수능 모의평가는 매년 6월과 9월 두 차례 실시돼왔다. '9모'는 특히 당해 수능의 출제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데다 재수생 등 N수생도 함께 응시할 수 있어 수험생들이 현재 실력을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가늠자 역할을 했다. 그러나 그학교 현장에서는 9모 성적이 통지되기 전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마감돼 대입 예측가능성이 낮아지고, 불안 심리를 이용한 사교육 홍보가 성행한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수시모집 원서접수 일정은 모의평가 성적이 통지된 이후인 9월 중순 이후 시작될 예정이다. 2027학년도 수능을 보는 2026년까지는 9월 모의평가를 실시한다.
2028학년도 대입전형의 모집단위별 반영과목도 보다 보다 일찍 안내하기로 했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들의 과목 선택이 대학 입시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통상 대학의 모집단위별 반영과목은 대학별 '대입전형 시행계획'에 포함돼 입학연도 1년 10개월 전(2028학년도 기준 2026년 4월)까지 공표되는 사항이다. 그러나 2028 대입전형 운영계획을 조기에 수립한 대학은 빠르면 올해 하반기(8월 예정) 중 모집단위별 반영과목을 안내할 예정이다.
입시업계에서는 '8모'가 시행되면 대입에서 지금보다 중요도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종로학원은 "6모, 8모 채점 결과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학교에서는 최종 학교장 추천전형 인원 선정, 수험생 입장에서는 수능 최저 충족 가능성과 정시 예측 등에 상당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집단위별 반영과목 조기 안내와 관련해서는 "2028학년도 내신, 수능, 고교학점제 등 대입 큰 폭 변화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대학들은 전형계획 발표를 앞당기고 기존 발표보다 더 상세한 내용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