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채원 기자] 서울대·연세대 의과대학 학생들이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 또는 수업 거부’로 입장을 바꿨다. 이미 마감 기한이 지난 의대들이 미등록 제적 절차를 진행해 다수 의대생들이 제적 위기에 놓이자 '등록 거부' 단일대오에 균열이 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의대가 마감시한을 3월 말까지로 못박은 상황에서 '등록 후 수업 거부' 기류가 확산할 지 주목된다.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테스크포스(TF)는 지난 26일 '미등록 휴학 투쟁 지속 여부'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찬성은 34.3%(208명), 반대는 65.7%(399명)로 집계됐다.
의정갈등 TF 측은 이날 공지에서 "다수 학생들이 미등록 휴학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가는 것에 동의하지 못했다"며 "등록 후 투쟁의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오후 2시까지 복학원 제출 및 수강 신청을 통해 등록 절차를 마무리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등록 후 투쟁 방향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이른 시일 내에 안내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 의대가 공지한 등록 마감시한은 이날 오후 5시까지다. 서울대 외 이날 등록 절차를 마감하는 대학은 이화여대·동국대·부산대·영남대·제주대 등이다.
연대 의대생들도 이날 '선 등록, 후 휴학'으로 투쟁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대 의대는 지난 11일 등록 후 휴학을 신청한 학생은 유급, 등록하지 않고 휴학을 신청한 학생은 제적 처리하겠다고 안내한 바 있다.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대 의대는 오는 28일 미등록 학생 제적 처리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40곳 대학 의대생 단체인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미등록 휴학 방침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의대생 대규모 제적이 현실화할 경우 의정 갈등은 더 깊어질 수 있다. 등록 의사를 밝힌 의대생들도 수업 거부로 투쟁을 이어갈 수 있는 만큼 '의대교육 정상화'도 불투명하다.
의대협은 이날 '의대협 학생 대표 공동성명서'에서 "투쟁이 끝난 것이 아니다"라며 "서울대와 연대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대 의대 대의원을 겨냥해서는 "대의원으로서 각 단위의 형평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었으나 자신의 안위를 위해 39개 단위를 져버렸다"며 "사태 종결은 오직 총 회원의 의사를 반영해야 하며 한 개인의 선언으로 결정돼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