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채원 기자] 교육부는 18일 집단 휴학 중인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업 복귀를 재차 압박했다. '집단행동의 일환인 대규모 휴학은 정당한 휴학사유가 될 수 없다'며 각 의대에 휴학을 승인하지 말라고 당부하고 나선 것이다. 대부분 의대들이 학생들에게 제시한 복귀 마감시한은 3월 말까지다.
교육부는 이날 40개 의대 총장에게 '의대의 대규모 집단적인 휴학 불가 알림'이란 제목의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은 "대규모 휴학 신청은 대학 전체의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방해하고 대학 교육 여건을 악화시켜 대학 내 다른 단과대학 및 학생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특히 의대는 우리나라 국민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보건의료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서 권한과 책임을 담당하고 있다"며 "장기적인 학사 파행 및 의료인력 양성 공백 등으로 국가핵심기반인 보건의료 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 향후 국민 건강과 생명에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공문은 "의학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의대는 의대생 대규모 집단휴학과 이후 복학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책임이 있다"며 "대학 교육여건 등을 고려해 휴학 승인 여부 등을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각 대학에서는 형식적으로는 개인사유에 의한 휴학 신청이나 실질적으로는 집단적인 대규모 휴학 신청은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교육부는 지난 7일 3월 말까지 의대생 전원이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5058명에서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각 대학도 학생들이 시한 내 복귀하지 않으면 제적 또는 유급 조처하겠다고 예고했지만 수업 참여 움직임은 미미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