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는 일자리, 맞벌이는 아이 돌봄…'일석이조' 자치구 정책
  • 정소양 기자
  • 입력: 2025.03.02 00:00 / 수정: 2025.03.02 00:00
강남구, 등·하원에 노인일자리 활용
송파구,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
동작구, 초등 '늘봄학교 안전지원단' 출범
서울 내 자치구들이 시니어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나섰다. /더팩트 DB
서울 내 자치구들이 시니어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나섰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고령층 일자리, 저출생 심화로 아이 돌봄 서비스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서울 자치구들이 아이 돌봄 서비스에 은퇴·퇴직 인력을 투입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

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는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넘어섰다. 반면 노인 빈곤률은 2020년 기준 40.4%로 OECD 회원국 중 최고다.

노령 인구 증가세에 일하기를 원하지만 빈곤은 심해지는 상태에서 시니어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 자치구들이 나섰다.

강남구는 노인일자리를 활용한 '아이돌봄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강남구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아이돌봄서비스 대기가구는 161가구에 달하고, 평균 대기 기간이 83일로 길어 맞벌이 가정 등에서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 강남구는 노인일자리를 활용해 '아이돌봄' 공백을 해소하고 있다.

'아이돌봄 지원사업' 대상자로 뽑힌 참여자들은 등·하원 중심의 돌봄 활동을 담당하게 된다. 활동 시간은 하루 3시간, 주 15시간 이내로 조정되며, 한 달 동안 만근할 경우 약 76만원의 급여가 지급된다.

강남구는 지난 24일부터 60세 이상 구민을 대상으로 총 125명의 돌봄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다. 1회차당 25명씩 총 5회에 걸쳐 선발되며, 선발된 인원은 돌봄 표준 교육(120시간) 또는 관련 자격증 보유자의 경우 단축 교육(40시간)을 이수한 후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강남구는 "노인일자리를 활용해 돌봄 인력을 확충하고, 안전한 등·하교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돌봄 공백을 해소하고, 동시에 어르신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시스

송파구도 지난 2021년부터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아동들의 돌봄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송파구에 따르면 구의 신중년 인구는 18만9619명으로, 송파구 인구 중 29.2%를 차지한다.

이에 구는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을 통해 전문성과 경력을 갖춘 퇴직인력이 공익적 기관·단체에서 사회공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신중년들의 지역사회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대상자는 50세 이상 70세 미만의 전문성과 경력을 갖춘 퇴직 신중년이다. 이들은 초등 아동 돌봄, 학습지도, 교육활동 프로그램 보조 등의 역할을 맡는다.

송파구 관계자는 "퇴직한 신중년이 본인이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력을 발휘해 지역사회에 이바지함으로써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 및 자존감을 느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동작구도 만 40~69세의 거주 퇴직자들로 구성된 '초등 늘봄학교 안전지원단'을 운영한다.

초등학교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탄생한 '초등 늘봄학교 안전지원단'은 '늘봄학교' 학생들의 수업준비, 교내 이동 시 사건·사고가 없도록 안전관리 뿐만 아니라 하교시 보호자 인계까지의 역할도 담당한다.

이들은 경력, 자격증, 교육 이수 중 1가지 이상을 충족한 전문인력으로 구성되며, 시간당 활동지원비 1만30원을 받는다. 3월 4일부터 5월 30일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동작구는 이달 중 39명의 안전관리원을 선발해 내달 4일 관내 초등학교 늘봄교실 17개소에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초등 늘봄학교 안전지원단'은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돼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작구 관계자는 "학교 규모에 따라 배치 인원은 다르나 평균적으로 한 학교당 2명의 '안전지원단'이 배치될 예정"이라며 "이들은 '신중년 사회공헌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지원 조건에 따라 거주 퇴직자들이 채용됐으며, 추후 성과와 상황 등을 살피며 연장·확대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js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 ※ 이 기사는 팬앤스타에 제공되고 있습니다. 댓글 15개 보러가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