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송호영 기자]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위원장이 "(민주노총의)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밝혔다.
양 위원장은 27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역대 어느 정부든 친기업적 행보,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기조로 갖고 있었기에 그런 구조를 바꾸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양 위원장은 "사회적 대화가 경사노위로 대표되기는 하지만 전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사회적 대화가 실질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태도와 역할에 대한 노동자들의 신뢰가 기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정 교섭을 통해 정부가 적어도 균형자의 역할을 할 수 있겠다는 신뢰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며 "그 기반으로 추후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대화를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지 논의하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행보에 놓고는 "이 대표가 민주당이 중도 보수 정당이라고 표현한 것은 정확한 진단"이라며 "민주당은 정책과 강령 내용 활동을 되짚어보면 중도 보수적 역할을 갖고 있었다"고 평가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창립 30주년을 맞은 2025년 3대 사업과제로 12·3 내란 세력 청산, 사회 대개혁을 위한 10대 요구안 제시, 200만 민주노총 시대 등을 제안했다. 민주노총의 조합원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약 120만명이다.
다음 달 1일, 8일, 15일에는 '내란 세력 청산을 위한 시민대회'를 예고했다. 이어 노동기본권·여성·장애·이주민·성소수자·농민·기후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10대 요구안을 제시했다. 2030 청년 조직화 사업을 통해 조직원 수를 200만 명으로 늘리겠다는 포부도 내놨다.
hyso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