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3대 동시 충전 AI 로봇…'서울 보이' 본격 상용화
  • 정소양 기자
  • 입력: 2025.02.27 06:00 / 수정: 2025.02.27 06:00
자동 충전으로 교통약자 접근성 해소
9호선 신방화역 공영주차장에 첫선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AI(인공지능) 기반의 로봇 자율 충전 시스템 서울 보이를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방화역 공영주차장에서 선보인다. /서울시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AI(인공지능) 기반의 로봇 자율 충전 시스템 '서울 보이'를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방화역 공영주차장에서 선보인다. /서울시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서울시는 전기차 충전기 전문기업 모던텍과 협력해 전국 최초로 AI(인공지능) 기반의 로봇 자율 충전 시스템 '서울 보이'를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방화역 공영주차장에 선보인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지난 2년간 준비 끝에 이날 오후 2시 공개행사를 열고 본격 상용화를 알린다.

'서울 보이'는 로봇 1대가 전기차 3대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다. 2023년 9월부터 16개월간 시범 운전과 안전 테스트를 거쳐 한국로봇사용자협회로부터 로봇 안전 인증도 획득했다.

시는 로봇팔 형태의 '서울 보이'가 충전소에 진입한 차량에 자동으로 충전 건을 연결·해제하며, 기존 전기차 충전 시 어려움을 겪었던 교통약자의 접근성이나 안전 우려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충전 효율이 극대화되고, 여러 대의 차량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어 충전소의 운영 효율성도 높였다.

'서울 보이'의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모던보이' 앱에 회원 가입 후, 차량 번호와 결제 수단을 최초 1회 등록하면 된다. 이후 충전소에 차량을 주차하면 60초 이내에 충전이 자동으로 시작되며, 종료까지 별도의 조작 없이 진행된다.

현재 아이오닉5, 코나EV, EV6 전기차 모델에 최적화됐지만, 테슬라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차 모델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용 요금은 kWh당 324.4원으로 서울시 운영 일반 충전소 요금과 동일하다.

시는 △전기차 충전 통합 불편 신고 시스템 구축 △충전과 결제가 동시에 이뤄지는 '오토차징' 확대 △버스 차고지 등 천장형 급속충전기 도입 추진 등 지속 가능한 친환경 모빌리티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4월부터 시가 관리하는 충전기 3900여 기에 QR코드를 부착해 시민이 간편하게 고장 신고할 수 있도록 유도했으며, 공공 충전기 141기에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된 자동 충전·결제 시스템도 민간 충전기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전기차 자율충전소는 단순히 충전소 개념을 넘어 자율주행 시대를 맞이하며 교통약자를 위한 서비스 혁신의 시작점"이라며, "서울 시민 모두가 편리하게 전기차를 이용해 탄소 배출 감소에도 기여하며, 나아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js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