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송호영 기자] 시민단체가 '송파 세 모녀 사건' 11주기를 맞아 빈곤층의 죽음이 계속되고 있다며 약자 보호를 위한 사회정책의 전반적 변화를 촉구했다.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 전국장애인부모연대(부모연대), 장애인과가난한이들의3대적폐폐지공동행동 등 시민단체와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는 25일 국회 앞에서 송파 세 모녀 11주기 추모제를 열고 "매년 발굴되는 수십만 명의 위기 가구가 처한 복지 사각지대와 빈곤층의 죽음은 까다로운 진입장벽으로 밀려날 수 밖에 없다"며 "빈곤층의 죽음을 멈추기 위해 복지정책과 함께 노동, 주거, 사회 서비스, 의료 등 사회 정책의 전반적 변화가 동반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강산이 한 번 이상 변하는 시간이 지났지만, 가난한 사람들의 빈곤을 이유로 한 또 장애를 이유로 한 죽음은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다"며 "빈곤 문제는 단순한 복지 정책의 문제만이 아니며, 노동권, 주거권, 건강권 등의 권리들이 연쇄적으로 박탈되었을 때 나타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가난으로 혹은 차별로 죽음을 택한 사람이 한 명이라도 없었다면 성공한 사회겠으나, 그렇지 않다"며 "발달 장애인 가족의 참사도 해마다 10여 건이 넘게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2일에는 부산 동구의 한 주택에서 60대 여성과 40대 두 딸이 생활고 등을 비관해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이 벌어졌다. 큰딸은 사망했고, 어머니와 작은 딸은 의식을 잃은 채로 호흡곤란 증세를 보여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송파구 세 모녀 사건은 2014년 2월26일 서울 송파구 석촌동 한 주택 지하 1층에서 박모(당시 60세) 씨와 30대 두 딸이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이다. 당시 식당 일을 하며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다가 몸을 다친 박 씨는 70만원이 든 봉투에 '죄송합니다.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입니다'라는 메모를 남겼다.
hyso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