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년 만에 서울올림픽 열릴까…오세훈 "공동개최 No, 분산개최 Yes"
  • 정소양 기자
  • 입력: 2025.02.22 00:00 / 수정: 2025.02.22 00:00
경기도, 인천, 강원도, 부산 등 경기장 활용 협조 마쳐
한국 경정의 태동을 알린 1988년 서울올림픽 페막식./경륜경정총괄본부
한국 경정의 태동을 알린 1988년 서울올림픽 페막식./경륜경정총괄본부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2036 하계 올림픽 유치 후보에 서울시와 전북 '2파전' 구도가 형성된 가운데 서울시는 경험과 인프라를 내세우며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시는 '단독 개최' 방향으로 가되 '분산 개최'에 대한 여지는 남겨뒀다.

2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대한체육회는 오는 28일 대의원총회를 열고 비밀 투표로 유치 후보 도시를 선정할 계획이다.

유치전에 뛰어든 서울시는 특히 '흑자 올림픽'을 강조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5~11월 '2036 서울올림픽 유치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결과 편익/비용 비율(B/C)은 1.03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통상 편익/비용 비율(B/C)이 1.0 이상이면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조사에 따르면 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비용은 5조833억원, 총 편익은 4조4707억원이다.

특히 총비용으로 도출된 5조833억 원은 2000년 이후 열린 다른 올림픽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최저 비용'이다. 성공적으로 개최됐던 1988 서울올림픽 경험과 유산을 바탕으로 신축 없이 기존 경기장을 최대한 활용하고 일부 부족한 시설은 타 시·도 소재 경기장을 활용, 경제적이면서도 지속 가능한 대회를 치르겠다는 입장이다. 시에 따르면 이미 타 지자체에 경기장 활용 협조도 마쳤다.

여기에 △88서울올림픽 경기장(송파구 올림픽공원 내) 재활용 △잠실 올림픽주경기장 리모델링 △민간투자사업으로 잠실 스포츠·MICE 복합단지 조성을 비롯해 광화문·한강 등 주요 명소에 임시경기장(비치발리볼·양궁·스케이트보드 등)을 설치할 경우 약 5조원으로도 대회 개최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오세훈 시장도 지난 19일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기존에 한번 치렀던 대회이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시설을 재활용하는 '흑자재활용림픽', 재활용 덕분에 흑자를 이루는 올림픽이 될 것"이라며 "서울의 경우 경기장뿐만 아니라 도로, 공항, 그 외 인프라도 완비된 상황으로, 경쟁 도시 대비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우월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비용 측면에서의 우위를 적극 활용해 꼭 유치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림픽 재유치'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시가 지난해 7~8월 시민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서울시민 85.2%가 올림픽 유치에 찬성했다. 실제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개최 도시 시민의 염원을 중요하게 여기는 등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지지도는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다. 2024 하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시민의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한 채 미국 보스턴(찬성 39%), 독일 함부르크(찬성 48.4%) 등은 큰 진통 끝에 유치 도전을 철회한 사례도 있다.

2036 서울 하계올림픽-경기장 현황. /서울시
2036 서울 하계올림픽-경기장 현황. /서울시

이에 앞서 서울과 전북의 '공동 개최'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현실화 가능성은 높지않다.

지난 17일 대한체육회 이사회에서 일부 이사가 서울과 전북의 올림픽 공동 개최 의견을 냈지만 의사정족수 부족으로 공식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다.

오세훈 시장도 지난 19일 서울시의회 시정질문에서 "올림픽은 내부행사가 아니라 국제행사고, 개최를 원하는 도시들이 외국 도시들이다. 전라북도와의 공동개최는 감점 요인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점수뿐만 아니라 준비기한도 6개월 이상 늦춰질 수 있다"며 공동개최에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2036 올림픽 국내 유치 후보 도시는 한 지역의 '단독 개최'로 방향을 잡게 됐다.

다만 '분산 개최'는 가능성을 열어뒀다. 오 시장은 "개최권을 가져오게 되면 시설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전라북도와 분산 개최하겠다는 의지는 전북과 올림픽 위원회에도 전달했다"고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경기도, 인천, 강원도, 부산 등 4개의 지자체와 경기장 활용 협조를 마친 상태"라며 "분산 개최의 경우 공동 개최와는 달리 시설만 사용한다. 일단 서울로 유치되면 구체적으로 어느 지자체와 분산 개최를 할 지 고려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당장 어느 곳이랑 (분산 개최를) 하겠다고 확정한 것은 없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js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 ※ 이 기사는 팬앤스타에 제공되고 있습니다. 댓글 8개 보러가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