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 운동의 뜻, 물리학에서 경제학까지…'폭넓은 활용'
  • 서민지 기자
  • 입력: 2014.12.05 11:17 / 수정: 2014.12.05 11:17
브라운 운동의 뜻은 기체 또는 액체 안에서 움직이는 작은 입자의 불규칙적인 운동으로 오늘날 물리학·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을 타당성 있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 유튜브 캡처
브라운 운동의 뜻은 기체 또는 액체 안에서 움직이는 작은 입자의 불규칙적인 운동으로 오늘날 물리학·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을 타당성 있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 유튜브 캡처

브라운 운동의 뜻, 다양한 분야에 폭넓은 활용

[더팩트 | 서민지 인턴기자] 브라운 운동의 뜻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오늘날 브라운 운동은 어디에 활용되고 있을까?

브라운 운동의 뜻은 기체 또는 액체 안에서 움직이는 작은 입자의 불규칙적인 운동이다.

1827년 스코틀랜드의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Brown Robert·1773~1858)은 꽃의 구조를 현미경으로 연구하다가 물에 부유하고 있는 화분(꽃가루)이 끊임없이 불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실인 '브라운 운동'을 발견하게 됐다.

이러한 브라운 운동은 오늘날 물리학에서 풀리지 않았던 이론들을 해석하는데 있어 타당성을 뒷받침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원자들은 존재하는가에 대한 증거로서 활용되고 있다. 그동안 물질은 원자로 만들어져 있다는 돌턴의 원자론 주장에서 부터 시작해 아보가드로, 볼츠만이 그 계보를 이어왔다. 하지만 이들의 이론들은 원자의 존재를 직접 증명해내지 못했기 때문에 반대하는 학자들이 많았다. 하지만 아이슈타인과 페랭이 브라운 운동을 접목시켜 설명하게 되면서 원자와 분자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게 돼 큰 의의를 지닌다.

또 통계적 요동의 존재나 열역학 법칙의 통계적 특성에 대해 해석의 타당성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또 특이한 것은 물리학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학에서도 응용 가능하다. 프랑스 경제학자 루이 바슐리에(Louis Bachelier)는 1900년에 박사 학위 논문 '투기이론'에서 금융시장의 가격변동을 브라운 운동으로 모형화했다. 이는 주식 가격이 무작위적인 양만큼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이후 1950년대 중반 미국의 경제학자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은 바슐리에의 이론을 수정해 '기하 브라운 운동'을 만들어낸다. 즉, 경제학에서 브라운 운동은 시장을 움직이는 규칙을 찾기 위해 설명 도구로 쓰이고 있다.

브라운 운동의 뜻의 활용을 알게된 누리꾼들은 "브라운 운동의 뜻, 어렵지만 여러군데 사용되고 있구나" "브라운 운동의 뜻, 신비한 과학의 세계" "브라운 운동의 뜻, 심오하다" "브라운 운동의 뜻, 경제학에도 사용되다니 신기하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sseou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