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차 기준 완화, 경차 혜택 받지 못했던 수입차 '판매 대수 늘까?'
[더팩트 | 김민수 인턴기자] 경차 기준 완화 검토 소식이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 27일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5일 경차 기준을 비롯해 차종 분류기준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하고 이번달 8일 입찰을 거쳐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가기로 결정했다.
경차 기준에 대한 여러 목소리가 들리고 있어 현재 기준이 타당한지 검토해본다는 계획이다.
현재 해외에서는 경차로 분류되는 차량이 한국에서는 경차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경차 기준이 완화되면 외국에서 호평받는 차들이 국내에서도 인기리에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상 경차로 분류되려면 배기량 1000cc 미만에 차체가 전장 3.6m, 전폭 1.6m, 전고 2m 이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경차로 인증된 차량은 기아차 모닝, 레이와 한국지엠 스파크 등 3개 차종이다.
유럽에서 인기 있는 피아트 친퀘첸토, 르노 트윙고 등의 경차들은 배기량 등의 기준은 충족하지만 전폭에서 국내 기준보다 조금씩 길어 사실상 국내에선 경차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수입차 업계는 공식적으로 국토부에 건의하지는 않았지만 경차 기준 완화를 공공연히 주장해 왔다. 기준을 완화하면 새로운 경차 수요가 생겨 시장이 활성화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경차 기준 완화 검토 소식에 네티즌은 "경차 기준 완화 검토, 글쎄", "경차 기준 완화 검토, 수입차 더 잘나가겠다", "경차 기준 완화 검토, 국산차 긴장해야 되겠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