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박지윤 기자] 하정우의 '로비'가 베일을 벗는다. 감독으로서 10년 만에 선보이는 연출작이자 배우로서 부진에 빠져있는 상황에서 새롭게 내놓는 영화다. 그 어느 때보다 '로비'의 성적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하정우가 감독이자 배우로서 유의미한 결과를 낼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2일 스크린에 걸리는 '로비'(감독 하정우)는 연구밖에 모르던 스타트업 대표 창욱(하정우 분)이 4조 원의 국책사업을 따내기 위해 인생 첫 로비 골프를 시작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롤러코스터'(2013)와 '허삼관'(2015)을 연출했던 하정우의 세 번째 연출작으로 제작 단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다.
10년 만에 감독으로 관객들과 만나게 된 하정우는 골프장 내에서 여러 비즈니스가 오가는 것을 보고 대한민국 최초로 로비 골프 세계에 영화적 상상력을 접목시켜서 '로비'를 탄생시켰다.
그는 광활하지만 은밀한 골프장에서 사생활 보호를 받으며 플레이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블랙코미디적인 요소에 적합한 배경이라고 생각했다고. 그렇게 각자의 목적을 가진 캐릭터들이 골프 라운딩을 하면서 벌어지는 여러 사건을 특유의 말맛과 티키타카로 유쾌하게 풀어낸다.
하정우의 활약은 카메라 안에서도 펼쳐진다. 주인공 창욱 역을 맡아 배우로서도 작품을 이끌어가기 때문이다. 극 중 창욱은 오직 일과 연구밖에 모르고 살았지만, 막대한 예산의 국책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로비 골프 세계에 입문하게 되는 인물이다. 이를 연기한 하정우를 비롯해 김의성 강해림 이동휘 박병은 강말금 최시원 곽선영 등이 탄탄한 캐스팅 라인업을 구축하며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로 톡톡 튀는 재미를 선사한다.
앞서 하정우는 '비운의 명작'으로 회자되는 '롤러코스터'의 정신과 철학을 이어받으면서도 그때 부족했던 부분들을 보완했다고 자신했다.
그렇게 하정우는 제한된 공간인 비행기에서 탁 틘 골프장으로 장소를 확대했을 뿐만 아니라 로비 골프 세계에 뛰어드는 창욱을 필두로 정치권 실세부터 프로 골퍼와 로비 알선 전문 기자, 로비력으로 사업을 따내는 라이벌 회사 대표, 부패 장관, 국민 배우, 골프장 대표와 그의 사모 등 현실에 있을법한 다양한 인간 군상을 통해 웃음은 물론 관객들에게 생각할 거리도 던진다.
이에 따라 하정우 특유의 말맛과 티키타카를 좋아했던 관객들은 물론, '롤러코스터'의 DNA가 현실과 맞닿은 만큼 당시 '롤러코스터'에 진입장벽을 느꼈던 관객들도 쉽게 '로비'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감독 겸 배우로 작품에 이름을 올린 하정우는 개봉 전 홍보 요정으로 변신해 '열일'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유튜브 콘텐츠 '요정재형' '나영석의 와글와글' '용타로' '성시경의 먹을텐데'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MBC 예능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 등을 통해 대중과 소통한데 이어 쿠팡플레이 'SNL 코리아' 시즌 7 첫 회 게스트 출연 소식까지 알리며 홍보에 진심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하정우는 지난달 25일 급성 충수돌기염 소견으로 응급 수술을 진행하며 그날 예정된 언론 시사회와 기자간담회, 무대 인사와 공감상담소 이벤트에 불참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그는 행사 참석 의지가 있었지만, 상황이 힘들다는 의사 소견에 의해 불가피하게 예정된 모든 일정에 참석할 수 없게 됐다. 이 가운데 언론과 관객들의 좋은 반응을 현장에서 느끼고 싶었다는 하정우는 수술 후 4일 만에 GV(관객들과의 대화)에 참석해 화제를 모았다.
이러한 하정우의 행보는 감독 겸 배우로서 작품을 향한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지점이다. 또한 '충무로 흥행 보증 수표' '최연소 누적 관객 수 1억 배우' 등의 수식어가 무색할 정도로 흥행 참패에 빠진 그가 '로비'로 부진의 고리를 끊고자 하는 강한 의지가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정우는 코로나19 이후 '클로젯'(127만 명)을 시작으로 '비공식작전'(105만 명) '1947 보스톤'(102만 명) '하이재킹'(177만 명)까지 꾸준히 작품을 선보이고 있지만 과거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스코어를 기록한 것. 심지어 지난 2월 개봉한 '브로큰'은 누적 관객 수 19만 명에 그치며 이렇다 할 존재감을 발산하지 못하고 극장가에서 씁쓸하게 퇴장한 바 있다.
이렇게 계속된 작품의 부진과 함께 하정우의 연기가 '기시감이 느껴진다'는 부정적인 반응도 함께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중의 냉정한 평가를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에 10년 만에 선보이는 자신의 세 번째 연출작으로 이러한 분위기를 반전시키고 자존심을 회복해야 하는 것.
다행히 개봉 전 평가는 긍정적이다. 언론시사회 이후 배우들의 환상적인 '케미'와 하정우 특유의 말맛 그리고 예측할 수 없는 전개 등으로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현재 극장가의 침체된 분위기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봉준호 감독의 '미키 17'은 이렇다 할 경쟁작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300만 관객 고지를 넘지 못했고, '유아인 리크스'를 품은 '승부'는 개봉 이후 줄곧 박스오피스 1위를 지키고 있지만 관객의 규모가 크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일을 벗게 된 '로비'가 하정우 감독의 대표작이자 배우 하정우 부진의 고리를 끊으며 두 마리 토끼를 잡아다 주고, 침체된 극장가까지 되살릴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jiyoon-1031@tf.co.kr
[연예부 | ssent@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