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 회장 "홈플러스 가치 회수 노력…고려아연은 거버넌스 개혁"
  • 이한림 기자
  • 입력: 2025.04.02 18:07 / 수정: 2025.04.02 18:07
지난달 24일 LP 대상 연례서한 통해 견해 밝혀
"새로운 물꼬 트는 분수령…동북아 최대 PEF 성장"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지난달 24일 LP에 보낸 연례서한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임영무 기자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지난달 24일 LP에 보낸 연례서한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임영무 기자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기관투자자(LP)에 보낸 서한을 통해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배경을 설명했다. 불가피한 결정이면서도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2일 투자은행업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달 24일 LP들에게 '2025년 연례서한'을 보내면서 홈플러스 기업회생과 고려아연 인수전 등 MBK파트너스가 함께 한 굵직한 사안들에 대해 자신의 메시지를 전했다.

먼저 홈플러스에 대해서는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모든 포트폴리오가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은 아니다. 여러 주주들 중 일부는 회생 과정에서 에쿼티 투자자들에 비해 상대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홈플러스 회생절차가 언론에서 다소 잡음을 일으켰다. 홈플러스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복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사재 출연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9월부터 이어진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회장의 MBK파트너스는 고려아연 최대주주인 영풍과 손을 잡고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과 맞불 공개매수, 주주총회를 통한 이사 수 변경과 이사회 진입, 가처분을 통한 법적 분쟁 등을 이어왔다.

김 회장은 "적대적 인수합병(M&A)이 아니라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인 거버넌스 개혁에 관한 것"이라며 "한국 기업들은 일부 재벌가의 부실한 기업지배구조 탓에 역사적으로 'K-디스카운트'를 받으며 거래돼 왔다. 고려아연은 거버넌스 중심 거래 활동의 새로운 물꼬를 트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김 회장은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은 MBK파트너스가 동북아시아 최대 규모의 사모펀드(PEF) 운용사로 성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20년 전 동북아에 집중하는 토종 사모펀드가 필요하다는 신념에서 출발한 뒤 바이아웃과 스페셜시추에이션이라는 두 가지 전략으로 310억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는 회사로 성장했다"며 "지금까지 200억달러 이상의 현금을 LP들에게 돌려줬다"고 말했다.

2kun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