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한림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내달 공매도 재개와 함께 새로 구축될 전산시스템이 시장에서 우려하는 불법 공매도를 잡을 수 있다고 확신했다.
이 원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 관련 열린 토론'에서 "전산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해 보니 과거 문제가 된 대규모 무차입 공매도를 99% 적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공매도 전산시스템은 금융 당국이 추진하는 불법 공매도 근절을 위해 공매도가 재개되는 시점부터 새롭게 구축되는 시스템이다. 특히 공매도 거래 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기관투자자가 도입해야 하는 자체 잔고관리 시스템도 공매도 재개부터 의무적으로 포함된다.
이 원장은 "그동안 진행했던 무차입 공매도 점검·조사 등은 다음 달 중 마무리해 3월 31일 전에 모두 정리할 것"이라며 "절차적으로 금감원이 공매도 적발 시스템, 관련 제도가 적절한지 금융위원회에 보고하면 이후 금융위원회가 정례회의에서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원장은 내달 4일 출범을 앞둔 대체거래소(ATS)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현재 증권사 15개사의 개별 시스템을 차례로 들여다보고 있으며 출범 시점에는 준비가 잘된 증권사만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끝으로 이 원장은 최근 교보증권을 비롯한 국내 증권사 9곳이 채권형 랩·신탁 돌려막기 혐의로 무더기 징계를 받은 것에 대해서는 향후 같은 위법사항이 확인되면 더욱 엄중한 제재가 가하겠다고 경고했다.
이 원장은 "앞으로는 비슷한 위법사항이 확인되면 최근 금융위원회 결론보다 더 엄한 제재가 내려질 것"이라며 "올해 증권사 대상 정기검사나 테마검사에서 이를 반영해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