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라진 기자] 금융당국이 국내 가상자산 시장을 법인에 일부 개방하기로 하면서도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에 대해서는 아직 중장기적으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협회 등 자본시장 유관기관은 가상자산 ETF의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13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서울 광화문 정부청사에서 열린 '3차 가상자산위원회 회의' 이후 진행된 브리핑에 참석해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여부는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말을 계속해왔다"며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가상자산의 위험이 금융시장으로 전이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금융당국은 올해 상반기부터 지정기부금단체·대학 등 비영리법인, 가상자산거래소 등의 가상자산 매도 거래를 허용한다고 밝혔다. 또한 하반기에는 전문투자자인 상장사와 전문투자자 등록법인에 매매를 시범 허용한다.
그간 정부는 자금 세탁과 시장 과열 우려를 이유로 법인의 가상자산 거래를 원칙적으로 제한해왔지만, 규제를 일부 풀기로 한 것이다. 다만 금융위는 금융회사의 시장 참여나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에 대해서는 아직 때가 아니라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가상자산 현물 ETF를 도입한다는 건 법인·개인 등 많은 투자자가 매매하게 된다는 의미인데, 법인 계좌 허용 이슈를 오늘 말하고 있지 않느냐"며 "ETF를 도입하기 전에 논의할 부분이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2단계 법안이 어느 정도 논의된 이후에나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