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산업/재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LG화학·삼성SDI, 정부 ESS 화재 원인 조사 결과 발표에 '강력 반발'
입력: 2020.02.06 17:18 / 수정: 2020.02.06 17:18
LG화학과 삼성SDI가 정부의 ESS 화재 원인 조사 결과 발표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더팩트 DB
LG화학과 삼성SDI가 정부의 ESS 화재 원인 조사 결과 발표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더팩트 DB

양사 "배터리는 ESS 화재의 직접적 원인 아니다"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LG화학과 삼성SDI가 정부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조사 결과 발표에 강력히 반발했다. 각 사에서 제조한 배터리가 ESS 화재와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6일 LG화학과 삼성SDI는 이날 설명자료를 내고 "배터리가 ESS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먼저 LG화학은 지난 4개월 간 자체 실험한 결과를 통해 자사 배터리가 ESS 화재와 연관이 없다고 부연했다. LG화학은 "지난 4개월간 실제 사이트를 운영하며 가혹한 환경에서 실시한 자체 실증실험에서 화재가 재현되지 않았고, 조사단에서 발견한 양극 파편, 리튬 석출물, 음극 활물질 돌기, 용융 흔적 등은 일반적인 현상 또는 실험을 통해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8월 30일 충남 예산 공장에서 발생한 ESS 화재 사고 또한 운영기록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은 것으로 분석됐고 현장에서 수거한 배터리에서 내부발화 시 나타나는 용융흔적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LG화학에 따르면 용융은 고체가 열을 받아 액체로 녹는 현상으로 배터리 외 다른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해도 화재가 배터리로 전이됨으로써 배터리 내 용융 흔적이 생길 수 있다. 이에 용융흔적을 근거로 배터리 내부발화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또한 ESS 화재 원인 조사단이 사고사업장과 동일모델, 동일시기에 설치된 인접 ESS 사업장의 배터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양극판에 파편 점착', '분리막에서 리튬-석출물 형성' 등을 확인했다고 밝힌 것도 부인했다. LG화학은 "파편이 양극판에 점착되면 저전압을 유발할 수는 있으나 LG화학의 SRS분리막을 관통해 발화로 이어질 위험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조사단의 '외부 환경 영향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에 대해서도 반발했다. LG화학은 "절연의 최소 기준치는 유지했으나 화재 점진적으로 절연 감소가 확인됐다"며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경북 군위 사업장 ESS 화재 또한 같은 입장을 유지했다.

정부가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ESS 화재 5건에 대한 조사 결과 4건이 배터리 결함으로 확인됐다고 밝히자 LG화학과 삼성SDI가 성명을 내고 대응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음. /이성락 기자
정부가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ESS 화재 5건에 대한 조사 결과 4건이 배터리 결함으로 확인됐다고 밝히자 LG화학과 삼성SDI가 성명을 내고 대응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음. /이성락 기자

삼성SDI도 이날 설명자료를 통해 "조사단이 배터리 이상을 화재원인으로 추정했는데, 조사단이 발표한 배터리는 화재 현장이 아닌 다른 사업장의 배터리다"며 조사단의 발표를 지적했다.

삼성SDI는 조사단이 '유사 또는 동일사업장에서 발화지점과 유사한 방전 후 저전압, 큰 전압편차를 보인 배터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배터리 이상을 화재 원인으로 추정했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이같이 반박했다.

삼성SDI에 따르면 지난해 말 조사단이 사고가 발생한 평창 및 김해 사업장에 설치된 배터리와 유사한 시기에 제조된 배터리가 적용된 다른 지역의 데이터 및 제품을 요청함에 따라 인천 영흥과 경남 합천 제품을 전달했다.

삼성 SDI는 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맞다면 동일한 배터리가 적용된 현장에서도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 그렇지 않았다며 반발했다. 삼성SDI는 "강원 평창은 배터리 보호장치가 정상 동작했고, 제시한 운영데이터는 화재 발생 3개월 전 데이터를 잘못 해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는 이어 "ESS 화재 발화지점은 배터리지만 화재 원인은 다양하다"면서 "화재는 불을 붙일 수 있는 점화원(열)과 불을 지속시키는 산소, 불을 확산시키는 가연물(연료)이 동시에 존재해야 하는데 배터리는 가연물이긴 하지만 점화원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한편 ESS 화재 원인 조사단은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충남 예산(LG화학), 강원 평창(삼성SDI), 경북 군위(LG화학), 경남 하동(LG화학), 경남 김해(삼성SDI) 등 5건의 ESS 화재사고에 대해 원인조사를 실시한 결과, 4건에서 배터리 결함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보호 및 운영 관리의 문제였다고 밝힌 1차 조사위원회의 ESS 화재 원인 조사 발표와 상반된 결과로 사고 원인을 배터리 결함으로 결론낸 것이다. 이에 LG화학과 삼성SDI는 바로 반발 성명을 내며 조사단의 결과 발표가 타당하지 않다며 지적하고 있다.

2kun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