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산업/재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내년에도 회복 어렵다는데…'삼중고'에 몸살 앓는 건설업
입력: 2024.09.13 00:00 / 수정: 2024.09.13 00:00

건설투자 부진 지속, 하반기 일자리 전망 '뚝'
건설업 취업자, 2013년 통계분류 이후 최대 감소 폭
산업재해 사고 매년 증가


청년층 사이에서 건설업 취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부실공사와 안전사고 등이 주요 이유로 꼽힌다. /뉴시스
청년층 사이에서 건설업 취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부실공사와 안전사고 등이 주요 이유로 꼽힌다. /뉴시스

[더팩트|이중삼 기자] 건설업에 대한 여러 지표가 심상치 않다. 투자·고용·안전 등 주요 영역에서 암울한 전망이 나와서다. 투자는 줄고 일자리는 사라지고 산업재해 사고는 늘고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심지어 부도가 나는 건설사까지 속출하고 있는 상황. 전문가들은 내년까지는 건설경기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며, 정부가 인프라 투자·시장 안정화를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의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올해 건설수주는 10.4%(170조2000억원)·건설투자는 1.3%(302조1000억원) 줄어들 전망이다. 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 등으로 전체적인 건설수주가 하락할 것이라는 게 건산연 측 설명이다.

건설투자 부진은 내수 회복의 걸림돌이다. 건설업은 대한민국 경제성장의 근간으로 일자리 창출에 효자인 업종이다. 투자가 줄면 고용시장이 얼어붙는 결과로 이어져 일자리가 없어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경제동향 9월호'에서 (건설수주 등) 건설투자 선행지표의 누적된 부진을 감안하면 당분간 건설투자·관련 건설업 고용도 부진을 지속하며 내수 회복을 제약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자,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에도 변화가 일었다. 고용노동부의 '2024년 8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1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특히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 감소 폭은 지난 3월 6000명, 4월 7000명, 5월 8000명, 6월 1만명, 7월 1만2000명, 8월 1만3000명 등 꾸준히 커지고 있는 추세다.

통계청의 '2024년 8월 고용동향'에서도 건설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8만4000명 줄어 지난 2013년 통계분류 이후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지난 5·6월 각각 4만7000명, 6만6000명 줄어든 데 이어 7월에도 8만1000명 줄어 감소 폭이 커지고 있다. 건설경기 불황이 고용시장에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하반기 건설업 업황 전망도 밝지 않아, 당분간 건설업종 고용보험 가입자 수 감소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고용정보원의 '2024년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에 따르면 건설업은 건설비 상승·건설 투자 감소 등 여파로 하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만8000명(2.7%)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고금리 유지·부동산 PF 부실 우려, 민간 분양시장 위축 등의 영향으로 건설 투자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4%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건설경기 불황이 이어지자, 부도가 나는 건설사도 늘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9월 부도난 건설사는 총 22곳이다. 전년 전체 부도 건설사 21곳을 이미 넘어섰다. 폐업 신고도 전년보다 증가했다. 누적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는 295건으로 전년 동기(218건) 대비 35.3% 늘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 폐업 신고도 9.67% 늘었다. 반면 신규 등록은 매년 감소하고 있다. 자금난에 시달린 건설사들이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백기를 든 셈이다.

산업재해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종은 건설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산업재해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종은 건설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 산업재해 사고 빈번한 건설업…위험한 일 인식 커져

산업재해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종은 건설업이다. 고용노동부 '산업별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재해 사고사망자 수 812명 중 건설업 사망자 수는 35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 타이틀은 올해 2분기까지 유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건설업 사망자 수는 130명, 사망사고 건수는 128건이다. 제조업 95명, 69건과 비교해 압도하는 수치다.

특히 국내 대형 건설사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가 최근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최근 3년 시공능력평가 20대 건설사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사고 재해자는 지난 2021년 1458명에서 2022년 1631명, 지난해 2194명으로 매년 치솟았다. 올해 상반기에는 929명이 산업재해를 당했다. 사고재해자 가운데 사망자는 지난 2021년 39명, 2022년 33명, 2023년 28명, 2024년 상반기 16명이었다.

박용갑 의원은 "국토교통부가 대형 건설사들의 안전 문제에 대해 더 철저하게 관리·감독하고 사고 발생 시 엄중한 조처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악재가 쌓이자, 청년층 사이에서 건설업 취업을 기피하는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건설기술인 98만6786명 중 20·30대는 16만3738명(16.5%)에 그쳤다. 40대까지 포함해도 절반(45.7%)이 안 된다. 반면 50·60대 건설기술인 수(53만4261명)는 전체 54.1%였다.

건설기능인 평균 연령도 50대를 넘어섰다. 건설근로자공제회에 따르면 건설기능인 평균 연령은 51.1세다. 청년층이 모두 현장을 외면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은 건설업 취업을 하지 않는 이유로 부실공사·안전사고 등을 많이 유발하는 일, 뇌물·비자금 등과 같은 비리가 많이 발생하는 일, 다른 산업에 비해 위험한 일 등을 꼽았다.

국토교통부는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서 건설경기 회복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더팩트 DB
국토교통부는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서 '건설경기 회복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더팩트 DB

◆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정부 역할 중요"

정부는 건설경기·건설업 분야 고용 살리기에 칼을 빼들었다. 국토교통부는 공사비 현실화와 유동성 공급, 미분양 해소 등을 골자로 '건설경기 회복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또 '건설업 일자리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건설업 전직·생계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공공시장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건산연 측은 "고금리·고물가·자금조달 여건 등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시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SOC투자, 금융시장 안정화 등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안전 강화와 품질 제고를 통해 건설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며 "기술 투자를 통한 중·장기적 비용 절감·경쟁력 제고 방안 모색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j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