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금융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업계 1위 SBI마저 고꾸라져…저축은행 2분기 괜찮나
입력: 2024.06.12 00:00 / 수정: 2024.06.12 00:00

연체율도 오름세…"안전자산 확보에 영업역량 집중"

올해 1분기 대형 저축은행이 고꾸라진 실적을 내면서 업계의 우려섞인 시선을 받고 있다. /더팩트 DB
올해 1분기 대형 저축은행이 고꾸라진 실적을 내면서 업계의 우려섞인 시선을 받고 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올해 1분기 대형 저축은행이 고꾸라진 실적을 내면서 업계의 우려섞인 시선을 받고 있다. 자산규모 1위 SBI저축은행마저도 첫 분기 손실을 냈다. 저축은행에선 올해까지 어려운 업황이 예상되는 만큼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영업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12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자산 순위 10개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웰컴·애큐온·페퍼·다올·신한·상상인·OSB)은 36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45억원의 순손실을 냈던 것과 비교해도 8배 가량 손실 규모가 커졌다.

상위 5개 사를 살펴보면 1위 SBI저축은행도 올해 적자로 돌아섰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1분기 37억원 순이익에서 올 1분기 64억원 순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모든 분기 순이익을 냈으나 올해 첫 분기 손실을 기록했다.

OK저축은행도 순이익이 376억원에서 149억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한국투자저축은행 역시 137억원에서 68억원으로 줄었다.

반면 웰컴저축은행은 지난해 81억원에서 올해 131억원으로 증가했다. 애큐온저축은행은 203억원 순손실에서 41억원 순이익으로 흑자 전환했다.

페퍼저축은행과 상상인저축은행도 대규모 순손실을 냈다. 페퍼저축은행은 1분기 적자 규모가 지난해 253억원에서 올해 379억원으로 확대됐다. 상상인저축은행도 1분기 적자가 지난해 175억원에서 올해 380억원으로 늘었다.

문제는 저축은행 업계가 지난해 1분기부터 현재까지 줄곧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총 154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지난해 1분기 527억원 순손실 대비 3배 가까이(192.8%) 급증했다.

연체율 역시 오름세다. 연체율은 8.80%로 지난해 말(6.55%) 대비 2.25%포인트 올랐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인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10.32%로 전년 말(7.73%) 대비 2.59%포인트 상승했다.

SBI저축은행은 올 1분기 64억원 순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이선영 기자
SBI저축은행은 올 1분기 64억원 순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이선영 기자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당분간 저축은행의 영업 환경 악화가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에 저축은행은 여신 잔액을 줄이고 있는 추세다. 저축은행 업계 여신 잔액은 1분기 말 기준 101조3777억원으로 지난해 1월 115조63억원을 기록한 이후 14개월 연속 감소세다.

저축은행에선 올해까지 어려운 업황이 예상되는 만큼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영업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최근 저축은행들은 점포 수, 임직원 수를 줄이며 몸집 줄이기에 나선 모습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점포 수는 △2021년 말 294개 △2022년 말 283개 △2023년 말 276개로 매년 줄고 있다.

임직원 수 역시 줄고 있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임직원 수는 △2021년 말 9855명 △2022년 말 1만311명으로 소폭 늘었지만 △2023년 말 9876명으로 감소했다.

저축은행은 내실 강화를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올해까지는 어려운 업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대부분의 저축은행들이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영업을 이어가지 않을까 싶다"며 "여신취급 기준을 강화한다던지 안전자산 확보에 영업역량을 집중해 수익성을 확보해 나갈 듯 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수익성 개선을 위한 경영효율화에 힘쓰고, 건전성 개선을 위한 충당금 적립 확대 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수익성 개선을 위해 영업활동을 일부 재개하거나 유가증권 투자 등을 통한 투자 수익 확대 등의 노력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