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4차 산업 핵심 광물 수입, 특정국 비중 커"
한국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국내외 핵심 광물 광산 수와 귀속 생산량이 부족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새롬 기자 |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한국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국내외 핵심 광물 광산 수와 귀속 생산량이 부족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이 보유한 핵심 광물 광산 수는 36개로 주요국에 비해 적고 핵심 광물 귀속 생산량이 전 세계 1% 이하에 불과하다고 28일 밝혔다.
한경협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광산 수는 36개로 중국(1992개), 미국(1976개)보다 현저히 적다. 국내 자원 부존량이 부족한 일본 134개와 비교해도 크게 적은 수준이다.
같은 해 기준 한국 기업 귀속 생산량(광산 총생산량과 지분율을 곱한 값) 비중은 핵심 광물 7종 모두 전 세계 총합 1%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 기업은 같은 기간 △동(4.1%) △아연(3.0%) △연(2.8%) △철광석(3.0%) △니켈(1.7%) △코발트(2.0%)로 확인됐다.
4차 산업 핵심 광물 니켈·리튬·코발트 세계 생산량은 특정국에 편중돼 있다. 지난해 전 세계 생산량 대비 니켈은 인도네시아가 53.1%, 리튬은 호주가 46.9%, 코발트는 콩고민주공화국이 68.6% 비중으로 세계 생산량 1위를 차지했다.
한경협이 유엔 국제무역통계(Comtrade) 2022년 교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4차 산업 핵심 광물 수입은 특정국 비중이 컸다. 이차전지에 활용되는 황산니켈은 핀란드 수입 비중이 68.2%, 산화리튬·수산화리튬은 중국 비중이 72.8%에 달했다.
한경협은 핵심 광물이 경제 안보와 결부돼 안정된 수급이 중요하므로 국가 전략적 관점에서 해외 광산 지분을 늘리고 민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봤다. 기존에는 주로 장기 공급 계약으로 개발에 진출하나, 지분 보유를 통한 핵심 광물 확보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특히 한경협은 핵심 광물 확보를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정부가 공공 자원개발 전문 독립행정법인을 설립해 기업의 자원탐사 프로그램 단계부터 적극 투자·채무보증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핵심 광물을 확보하려면 실제 생산이 시작되기 전 단계부터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다"며 "정책 금융 프로그램 강화,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대, 민관 컨소시엄 조성 등 정부의 종합 지원 패키지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