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튀논란' 정규돈 CTO·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자리 지켜
준신위 첫 번째, 두 번째 권고 모두 '모르쇠'
카카오의 인적쇄신 작업이 6개월 차를 맞이한 가운데, '회전문 인사'를 향한 비판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최문정 기자 |
[더팩트|최문정 기자] 사상 최대의 사법 리스크로 인해 대대적인 개선을 약속했던 카카오의 쇄신 작업이 6개월차에 접어들었다. 경영 일선에 복귀해 쇄신 작업을 진두지휘한 김범수 창업자가 '사명을 바꾼다는 각오'를 내건 만큼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논란의 중심에 섰던 고위 경영진이 자리를 지키며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을 벗지는 못했다. 또한 야심차게 출범한 외부 준법·윤리경영 감시 기구인 '준법과 신뢰 위원회'의 첫 권고부터 흐지부지되며 실효성 논란 역시 불거지는 형국이다.
10일 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지난달 28일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정신아 대표를 정식으로 선임했다. 정 대표는 인공지능(AI) 시대에 걸맞은 기술 경쟁력 확보와 인적 쇄신 방안 마련을 과제로 부여받았다.
정 대표는 지난 1일 전사 조직개편과 임직원 인사 등을 단행했다. 가장 눈에 띄는 인사는 정규돈 최고기술책임자(CTO)다. 정 CTO는 이전에 카카오뱅크에서도 같은 직책을 맡아 제1금융권에 요구되는 보안 등의 기술 개발을 이끈 인물이지만, 동시에 상장 직후 주식선택매수권(스톡옵션)을 대량으로 매도해 70억원이 넘는 시세차익을 올린 인물이기도 하다.
카카오 그룹 전반으로 확장하면 교체가 예상됐던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와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등이 자리를 지켰다. 류긍선 대표는 최근 금융감독원이 회사의 매출 부풀리기 의혹을 수사하며 해임을 권고했지만 자리를 지켰다. 신원근 대표는 정 CTO처럼 카카오페이 상장 직후 고위 경영진들과 함께 스톡옵션을 매도해 '먹튀논란'을 일으켰다.
논란을 일으켰던 주요 경영진이 자리를 지킨 가운데, 카카오 그룹이 정신아 대표 발탁을 시작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하던 인적 쇄신 작업에 제동이 걸렸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해 3월 글로벌 사업 경쟁력과 엔터테인먼트 분야 지식재산권(IP) 확보를 위해 SM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다. 이 과정에서 경쟁사인 하이브에게 불이익을 줄 목적으로 총 2400억원을 투입해 '시세조종'에 나섰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해당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와 배재현 전 투자총괄 대표, 홍은택 전 대표 등의 인물들이 연루됐다. 이와 함께 카카오가 유지해 온 자율경영 기조와 김범수 창업자의 측근 경영 등이 회사 위기의 원인으로 꼽혔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왼쪽)와 김소영 카카오 준법과 신뢰위원회 위원장이 지난해 11월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카카오 |
이에 글로벌 사업 발굴 등을 목적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던 김범수 창업자는 지난해 10월부터 사실상 경영에 복귀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직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카카오는 근본적 변화를 시도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며 "새로운 배를 건조하는 마음으로 과거 10년의 관성을 버리고 원점부터 새로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계열사마다 성장 속도가 다른 상황에서 일괄적인 자율경영 방식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으며 투자, 스톡옵션과 전적인 위임을 통해 계열사 성장을 이끌던 방식에도 이별을 고해야 한다"며 "카카오라는 회사 이름까지도 바꿀 수 있다는 각오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카카오는 김소영 전 대법관을 필두로 교수·언론인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 준법 감시 기구인 준신위를 구성했다. 김범수 창업자 역시 준신위 출범 전 위원들과 만나 "나부터 준신위의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며 "그렇지 않은 계열사의 행동이나 사업에 대해서는 대주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책임을 묻겠다"고 힘을 실었다.
준신위는 지난 2월 첫 권고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책임경영', '윤리적 리더십', '사회적 신뢰회복'의 세 가지 의제와 세부 개선방안을 3개월 안에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그 뒤 정규돈 CTO를 비롯해 카카오 그룹의 인사와 관련된 잡음이 나오자 '경영진의 평판 리스크를 방지할 방안을 마련할 것'을 추가로 권고했다.
그러나 카카오는 인적 쇄신과 관련된 준신위의 권고를 모두 수용하지 않았다. '전권'을 약속했던 출범 당시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지난 4일 'AI전략 최고위 협의회 출범식'이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준신위와는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고 짧게 답변했다.
munn09@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