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경제일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한은 "기업들 6개월마다 가격 올렸다…인플레 주도"
입력: 2024.03.11 14:30 / 수정: 2024.03.11 14:30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가격 인상빈도는 이전보다 40%가량 증가했고 약 9개월 수준이었던 가격 유지 기간도 6.4개월로 단축됐다. /사진은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뉴시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가격 인상빈도는 이전보다 40%가량 증가했고 약 9개월 수준이었던 가격 유지 기간도 6.4개월로 단축됐다. /사진은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뉴시스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들이 과거보다 가격 인상을 더 자주 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상빈도는 이전보다 40%가량 증가했고 약 9개월 수준이었던 가격 유지 기간도 6.4개월로 단축됐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은 가격 인상빈도를 늘리면서 비용압력에 대응한 반면 가격조정폭은 팬데믹 이전과 큰 변화가 없다는 특징을 보였다.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는 2018년부터 2021년 평균 월 평균 11.0%에서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기간(2022~2023년) 중 15.6%로 상승했다. 가격조정 빈도는 해당 기간 가격조정 기회들 가운데 실제로 기업이 인상·인하를 단행한 횟수의 비율을 말한다.

한은 관계자는 "이를 가격 유지 기간으로 환산해보면 과거엔 9.1개월에 한 번 가격을 조정했지만, 이제는 6.4개월에 한 번씩 가격을 재설정 했다는 의미"라면서 "가격을 바꾸는 기간이 짧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인하빈도와 가격조정폭(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이전과 비슷했다. 국내 생필품가격 인상률은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수준에서 유지 중이다. 한은은 "고물가 시기에 소비자의 저항 및 민감도, 경쟁제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기업들이 가격인상 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함에 따라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봤다.

인플레이션 수준에 따라 기업의 가격 인상빈도가 변화하는 행태를 반영한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유가 상승 등 충격의 크기가 크거나 서로 다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과 함께 가격인상 빈도가 확대되면서 물가상승률이 더 큰 폭(비선형적)으로 확대될 것이란 결과를 얻었다.

아울러 물가상승률이 4~5%로 높은 시기에는 동일한 비용 충격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추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당폭 웃도는 상황에서 향후 새로운 충격이 발생 시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봤다.

이동재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향후 물가상황 판단 시 기업의 가격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