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산업/재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경영권' 입장차에 'HMM 매각 불발'…산은·해진공 다음 스텝은?
입력: 2024.02.07 15:07 / 수정: 2024.02.07 15:07

조만간 시점 정해 원점에서 재매각 추진

하림그룹-JKL 파트너스 컨소시엄과 KDB산업은행·한국해양진흥공사의 국내 유일 원양 컨테이너 선사 HMM 매각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HMM의 1만1000TEU급 컨테이너선 블레싱호. /HMM 제공
하림그룹-JKL 파트너스 컨소시엄과 KDB산업은행·한국해양진흥공사의 국내 유일 원양 컨테이너 선사 HMM 매각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HMM의 1만1000TEU급 컨테이너선 '블레싱호'. /HMM 제공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하림그룹-JKL 파트너스 컨소시엄과 KDB산업은행(이하 산은)·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의 국내 유일 원양 컨테이너 선사 HMM 매각 협상이 최종 결렬됐다. 하림과 해진공 사이 경영권 행사 의견차를 좁히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산은과 해진공은 조만간 시점을 정해 재매각을 추진할 방침이다.

산은과 해진공은 HMM 매각을 위해 하림그룹-JLK 파트너스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7주간 협상을 진행했으나 최종 결렬됐다고 7일 밝혔다. 앞서 양측은 지난달 23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전날로 시한을 연장했다.

하림은 협상 과정에서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하고 있는 영구채 주식 전환을 3년간 유예해달라고 요구했다. 산은과 해진공은 콜옵션 행사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1조6800억원 규모 영구채를 보유하고 있다.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하림 측 지분율이 떨어지고 연간 추산 배당금도 줄어든다.

또 다른 쟁점은 하림의 컨소시엄 파트너 사모펀드(PEF) 운영사 JKL파트너스 지분 매각 제한 기간이다. 하림은 최종 JKL파트너스 지분 매각 제한을 5년에서 3년으로 줄여달라고 요구했으나,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최종 결렬됐다. 지분 매각 제한으로 인해 JKL파트너스가 이번 매각 협상에서 빠지면, 하림은 별도로 수조원의 자금을 마련해야 하지만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매각 측은 5년간 주식 보유를 매각 조건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5년간 HMM 지분 매각이 금지되면 JKL파트너스는 수익률 측면에서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양측 협상이 좁혀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가 이 지점으로 꼽힌다.

매각 측은 HMM 현금배당 제한과 일정 기간 지분 매각 금지, 정부 측 사외이사 지명 권한을 '주주 간 계약'에 담았다. 국가 기간산업인 해운업의 경쟁력을 잃지 않기 위해 최소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HMM이 코로나 팬데믹 3년 동안 쌓은 영업이익으로 보유한 10조원 규모 유보금을 놓고 해진공은 보수적으로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림은 '경영의 독립성'을 주장했으나, 해진공은 국가 해운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HMM에 일정 제동을 걸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려 했다.

지난달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HMM 육상·해상 노동조합과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전재수, 최인호 의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HMM 경영권 매각 민영화 국민 검증 국회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태환 기자
지난달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HMM 육상·해상 노동조합과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전재수, 최인호 의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HMM 경영권 매각 민영화 국민 검증 국회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태환 기자

한편으로는 하림의 HMM 인수 추진은 '새우가 고래를 삼키는 일'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자금 조달 능력 논란이다. 앞서 하림은 벌크 전문 선사 펜오션이 최대 3조원 규모 유상증자와 2조원 이상 인수 금융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HMM해원연합노조와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HMM지부(육상노조)는 지난달 토론회를 열고 "조달 계획이 명확하지도 않은 데다 6조4000억원 인수 자금 중 자기자본은 1조원이 채 되지 않는다"며 "무리한 인수 진행"이라고 주장했다.

하림은 이날 "HMM 안정적인 경영 여건 확보와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건설적인 의견을 제시하며 성실하게 협상에 임했으나 최종적으로 거래 협상이 무산된 데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불확실한 해운 업황에서 HMM이 중심을 잡기 위해서는 조속한 재매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앞서 업계에서는 올해 초 해운 침체 사이클이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러나 '홍해 사태'가 터져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컨테이너운임지수를 가늠할 수 있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2일 기준 2217.73이다. HMM 본입찰을 진행한 지난해 11월 넷째 주(993.21)와 비교하면 홍해 사태로 SCFI가 급격히 상승한 셈이다.

영업 환경도 녹록지 않다. HMM이 소속된 해운동맹 '디 얼라이언스'에서 세계 5위 선사 독일의 하파그로이드가 세계 2위 선사인 덴마크 머스크와 내년 2월부터 '제미니 협력'이라는 새 해운동맹을 만들기로 했다. 하파그로이드가 빠지면 디 얼라이언스의 글로벌 점유율은 기존 18.5%에서 11.6%로 급락하게 된다.

구교훈 한국국제물류사협회 회장은 "홍해 사태로 시황이 연말까지 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5월이면 해소될 것 같은데 최대한 빨리 글로벌 기업이 입찰에 들어와야 한다"며 "얼라이언스를 재편했을 때 유리할 수 있는 기업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산은과 해진공은 재매각 시기를 지정해 본격적인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공동으로 매각을 추진하는 만큼 양 기관이 논의를 거쳐 원점에서 다시 시작한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