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매물 적체 시동
서울 아파트 매맷가 하락세
정부와 은행권이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둔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수도권 아파트 매물이 쌓이고 가격이 내리는 모습이다. /이동률 기자 |
[더팩트ㅣ최지혜 기자] 정부의 고금리 기조에 부동산 시장 전망에 먹구름이 끼기 시작했다. 서울 일부 지역에선 아파트가격 하락세가 시작됐고, 수도권에는 매물이 쌓인다. 실수요자들이 저가매물을 소진한 뒤 투자수요가 되살아나지 않으면서 시장이 얼어붙는 분위기다.
11일 아파트실거래가가 집계한 통계를 보면 이날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거래 매물은 7만9352건으로 1달 전 7만2159건보다 9.9% 증가했다. 같은 기간 경기지역은 12만9235건에서 14만3049건으로, 인천은 3만107건에서 3만3056건으로 9.5% 늘었다. 낮은 가격에 나온 매물이 소진되면서 거래와 가격 상승폭이 둔화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과 거래량은 지난 8월 정점을 찍고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 7월 11억2783만 원에서 8월 11억3315만 원으로 올라 연내 최고점을 찍었다. 이후 9월 11억879만 원, 10월 9억9478만 원으로 가격이 내렸다. 거래량 8월 역시 3899건으로 정점을 찍고 9월 3398건으로 줄었다. 10월 부동산 거래 신고 기간은 이달 말까지 20일가량 남았다.
부동산 시장의 바로미터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도 약세다. 한국부동산원의 집계 결과 이달 첫째주(6일 기준)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격이 보합 전환했다. 서초구도 0.01% 상승에 그쳤다. 송파구는 0.11% 상승하며 유의미한 오름폭을 유지했지만 전주(0.12%)보다는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5% 올랐다. 이는 전주의 상승폭 0.07% 대비 2%포인트 내린 것이다. 서울 외곽 '노도강'으로 꼽히는 노원구와 강북구는 0.01% 내려 하락 전환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서울 외곽에서는 하락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과거 영끌 매수자가 많았던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원리금상환 부담에 주택 처분에 나선 집주인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2월부터 10월까지 기준금리 3.5%를 유지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를 이유로 은행권에 금리인상을 당부하고 나섰다. /더팩트 DB |
주택 시장의 위축세는 정부의 고금리 기조에 따른 것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차례에서 걸쳐 연 0.5%이던 기준금리를 3.5%까지 3%포인트 인상했다. 이후 올해 2월, 4월, 5월, 7월, 8월에 이어 지난달까지 여섯 차례 연속 동결 결정을 내렸다.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는 금리 동결 결정과 함께 기준금리를 연 3.75% 올리는 추가인상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물가가 예상보다 크게 오른다면 기준금리 인상을 동원할 수밖에 없다"며 "반대로 상승폭이 줄어든다면 기준금리를 조심스럽게 올리거나 중장기적으로 높게 유지해 부채 문제가 줄어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이들은 연 4% 금리를 적용받고 있다. 전국은행연합회의 집계 결과 지난달 19개 국내 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주담대 평균 금리는 4.32%를 기록했다. 구간별 취급 비중도 연 4~4.5% 미만과 4.5~5% 미만에 집중됐다.
기준금리 인상 여부와 무관하게 실제 주담대 금리는 향후 더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대출심사 강화 등 가계대출 관리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내 주담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등 강도 높은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질 경우 내년 주택시장의 매매가격 역시 하방압력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고금리 상황이 고착화돼 장기간 이어진다면 내년 부동산 시장도 활성화되기는 어렵다"며 "부동산 시장은 투자자들의 움직임에 따라 가격이 형성되는데, 실수요자들로만 상승거래 시장을 버티기는 어렵다"고 내다봤다.
wisdo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