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금융 규모·시기 저울질
결국 상생금융 행보에 동참할 것이란 시각도
금융당국의 2금융권을 향한 상생금융 요구에 카드사들이 상생금융 보따리를 잇따라 내놓고 있는 가운데 후발주자인 KB국민카드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더팩트 DB |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금융당국의 2금융권을 향한 상생금융 요구에 우리카드를 시작으로 현대카드, 롯데카드, 신한카드 등의 카드사들이 상생금융 보따리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하나카드도 3000억 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책을 내놓으면서 KB국민카드, 삼성카드 등 지원책을 내지 않은 카드사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카드업계에서는 후발주자들이 상생금융 규모와 그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을 뿐 결국 상생금융 행보에 동참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나카드는 19일 소상공인과 취약 차주를 지원하기 위해 총 3000억 원 규모의 상생 금융 지원책을 발표했다. 지원 방법은 유동성 지원, 대환대출, 신용대출 금리우대, 소상공인 마케팅 등이다. 특히 높은 금리로 인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연 1500억 원 지원 규모의 신용대출 금리우대 프로그램도 계획했다. 연 소득 2000만 원 이하이며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중 신규로 대출을 신청하는 경우 최대 1000만 원까지 고정금리 9.4%에 이용할 수 있다.
이호성 하나카드 대표이사는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의 어려운 현실에 깊이 공감하고 당사가 세심하게 지원할 수 있는 활동들이 무엇인지 진심으로 고민했다"며 "이번 지원활동을 통해 소상공인, 취약계층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좋은 마중물이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카드사들은 잇따라 상생금융 보따리를 풀었다. 우리카드는 지난달 29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방문에 맞춰 2200억 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책을 마련했다. 구체적으로는 소상공인 등 저소득층 대상 신규대출(800억 원), 영세·중소가맹점 카드 이용대금 캐시백(100억 원), 연체차주 저리 대환대출·채무감면(1300억 원), 가맹점주 대상 상권분석·마케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어 현대카드도 지난 7일 현대커머셜과 함께 6000억 원 규모의 지원책을 발표했다. 현대카드는 연 소득 2500만 원 이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최대 1000만 원 한도의 신규 대출 신청 시 금리를 최대 20%까지 할인해 제공한다. 현대커머셜은 개인 영세 사업자를 대상으로 구매금융을 우대 금리로 운영하고 상용차 구매금융을 지원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롯데카드 역시 지난 14일 3100억 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안을 마련했다. 롯데카드는 기초수급자, 장애인, 한부모가정 등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취약차주 채무정상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연체채권 감면비율을 10%포인트 일괄 확대해 최대 70% 감면해 준다. 대환대출 프로그램 '나눔론(고정금리 연 10%, 최대 60개월 분할상환)'을 운영하며 상환 스케줄 정상 완납 시에는 이자를 전액 감면해 준다.
신한카드도 이복현 금감원장이 본사를 방문한 지난 17일 금융 취약계층의 유동성 지원과 채무부담 완화 목적으로 총 4000억 원 규모의 상생 보따리를 풀었다. 신한카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소상공인 창업을 지원하고, 금융 취약계층에게 2500억 원의 유동성을 제공한다. 또 취약 차주들의 채무 부담 완화를 위해 1500억 원을 투입한다.
주요 카드사들이 상생금융안을 발표하면서 아직 발표하지 않은 삼성카드에 시선이 쏠린다. /더팩트 DB |
주요 카드사들이 상생금융안을 발표하면서 아직 발표하지 않은 국민카드와 삼성카드에 시선이 쏠린다. 다만 두 카드사는 상생금융 지원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국민카드 관계자는 "현업 부서에서 아직 상생금융 지원에 대해 확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삼성카드 관계자도 "상생금융 지원에 대해 정해진 것은 없고 지켜보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못 이겨 울며 겨자 먹기로 카드업계가 상생 금융안을 발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복현 원장은 지난달 29일에 이어 이달 17일 신한카드 본사를 방문해 "서민경제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생 금융을 통한 취약 차주 지원은 연체 예방 등을 통한 건전성 제고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금융권의 지속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이미 발표된 상생 금융 방안을 최대한 조기에 집행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카드업계는 금감원의 직접적인 압박은 없었으나 우리카드가 상생금융 1호라는 타이틀을 얻으면서 자연스레 상생금융에 동참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후발주자들도 상생금융 규모와 그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을뿐 결국 상생금융 행보에 동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타 카드사이 발표한 지원책과 차별화해야 하는 점도 부담감을 더하는 요인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의 상생금융 동참에 금감원의 직접적 압력이 있지는 않았다"며 "처음에 우리카드가 카드사 중 상생금융 1호라는 얘기가 나오면서 다른 카드사들도 상생금융안을 내야 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뒤로 갈수록 부담이 되니까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자체안을 마련해서 빨리 동참하자는 얘기가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카드사, 캐피탈, 저축은행 등이 서민들이 이용하는 금융기관이고 카드사는 가맹점이 주 사업의 원천이라고도 할 수 있다"며 "내부 검토가 길어질 수는 있겠지만 지금은 동참을 안 할 수 없는 분위기다. 여론이나 분위기를 의식 안 할 수 없고 그런 차원에서 고민을 하고 있고 적절한 시기를 고민하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