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 사라지고 전기·가스 요금 인상 영향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1분기 1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중은 62.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
[더팩트ㅣ박경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60%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를 반영한 만큼 소득이 오르지 못한 데다, 코로나19 당시 지급받은 정부지원금마저 사라지자 소득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1분기 전국 가구 중 적자 가구 비중은 26.7%로 집계됐다. 적자가구는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를 이른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구에서 소비지출이나 저축으로 사용 가능한 금액으로 전체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사회보험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것이다.
특히 1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중은 62.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집 중 두 집 가까이 적자 살림을 한 셈이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가장 높은 기록이다. 앞서 1분기 기준 2020년과 2021년의 적자 가구 비중은 각각 60.6%, 2022년 57.2% 수준이었으나 올 들어 5%포인트(p) 급등했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정부가 저소득층에 지급했던 각종 지원금이 사라지고, 전기·가스 요금 인상 등의 요인으로 지출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1분위 가구는 1분기 동안 매월 46만1000원의 적자를 냈다. 월평균 소비지출은 131만9000원인 데 반해, 처분가능소득은 85만8000원이었다.
1분위의 소득은 1분기 3.2%의 상승률을 보였으나 1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7%에 달했다. 실질소득은 1.5% 감소한 셈이다.
반면 소비지출은 1분기 13.7%나 뛰었다. 지출 항목별로는 오락·문화 43.3%, 교육 35.1%, 음식·숙박 31.8%씩 늘었다.
지출 비중 기준으로 살펴보면 주거·수도·광열비(23.1%)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새 전기·가스 요금이 오르자 지출이 15.7% 늘었다. 이어 식료품·비주류음료(19.0%), 보건(13.9%)에서의 지출이 각각 뒤를 이었다.
pkh@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