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김익래 회장 주가조작 인지 가능성 등 주목
키움증권, 내통설 강력 부인…"명예훼손으로 라 대표 고소"
2일 키움증권에 따르면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과 키움증권은 라덕연 대표에 대해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죄'로 서울경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다우키움그룹·더팩트 DB |
[더팩트ㅣ박경현 기자]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상장사 급락 사태가 주가조작 사태로 번진 가운데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의 '주가조작 세력 내통설'이 제기되고 있다. 주가조작 사태의 중심으로 꼽히는 투자업체 라덕연 대표와 김 회장 간 소송전이 시작된 데다 일반투자자들까지 행동에 나서기 시작해 김 회장의 책임론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라 대표는 김 회장에게 주가폭락 사태의 책임을 돌리며 손해배상 청구 등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라 대표는 김 회장이 금융 당국이 주가조작에 대해 조사를 벌이는 사실을 인지하고 다우데이타 주식의 대량 매도에 나섰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라 대표는 지난달 30일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이번 사태에서 차익을 챙긴 사람이 최대 수혜자며, 폭락의 배후에 있다"고 지적하며 "일단 손해배상 청구 민사를 하나 넣고, (검찰과 금융당국에) 진정서도 넣고 밤을 새면서라도 할 수 있는 건 다할 것"이라고 밝히며 소송전에 나설 것임을 예고했다.
김 회장은 다우데이타 주가가 하락하기 직전에 수백억 원을 현금화한 것과 관련해 매도 시점을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앞서 김 회장은 지난달 20일 다우데이타 주식 140만 주(3.66%)를 주당 4만3245원에 매도해 605억 원을 현금화했다.
이후 다우데이타 주식은 20일과 21일 각각 4%, 6%가량 내렸고 24일과 25일 연속으로 하한가를 기록했다. 26일과 27일도 모두 약세를 나타내며 40만 원 중반 대였던 주가는 17만 원대로 주저앉았다.
김 회장과 키움증권 측은 내통에 관한 의혹을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다. 이날 김 회장과 키움증권은 라 대표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죄'로 서울경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인위적으로 반대매매를 실행했다는 취지의 라덕연 발언은 실시간으로 자동실행되는 CFD 반대매매의 구조상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라며 "주가조작 세력과 연계되었다는 허위사실을 유포함으로써 회사의 명예를 훼손하고 신용을 심각하게 실추시켰다"고 고소 배경을 설명했다.
키움증권은 앞서 주가 급등에 대한 이상도 전혀 감지할 수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다. 황현순 키움증권 사장은 지난달 28일 금융투자협회에서 개최된 회의에 참석하는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교롭게 (김 회장이) 그때 매각을 했던 것이고 사실 그 전부터 팔려고 했다. 김 회장은 주가 조작 혐의를 받는 라 대표와도 전혀 친분이 없다. 이 발언에 직(職)을 걸겠다"고 강조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김 회장이 시세조종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폭락 직전 보유 지분 매각으로 차익을 거둘 수 있었다는 주장이 나온다. /더팩트 DB |
김 회장의 '내통설'이 제기된 이후 업계와 금융당국은 김 회장이 어느 정도 수준으로 주가조작 가능성을 인지했느냐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김 회장이 시세조종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폭락 직전 보유 지분 매각으로 차익을 거둘 수 있었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번 SG증권 계정으로 쏟아진 매물이 다우키움그룹 계열사인 키움증권의 CFD 계좌였던 점도 의혹에 힘을 싣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가 조작 일당을 알지는 못했더라도 이상 조짐은 충분히 느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가가 기업가치 대비 과도하게 오른 상태에서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어느 계정에서 사들이고 있는지 정도는 미리 인지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주가조작에 대해 방조·묵인했을 가능성이 낮다고 하더라도,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오르는 상황에서 시세차익을 챙긴 점은 도의적 책임론이 따라붙을 수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일반투자자들도 호재 없이 주가가 계속해 오르면 작전 세력이 붙었다는 의심을 갖거나 매집 세력의 창구를 살펴보기 마련이다"며 "그룹 회장으로서 이를 인지한 상태에서 차익을 챙기는 것은 이해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반투자자들 사이에서도 SG발 사태 피해자들이 속속 행동에 나서고 있다. 법조계에 따르면 'SG발 폭락사태' 피해자 10여 명은 주가조작 일당에 대한 고소장을 지난 1일 제출했다. 추가로 100여 명 규모의 투자자가 모여 소송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정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는 "사실관계는 일반투자자들이 파악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것이나, 투자자들의 시선이 곱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며 "김 회장의 돌발적 매도로 인해 릴레이 하한가가 시작된 데 대해 도의적이든 법률적이든 책임은 분명히 있다고 본다. 그로 인해 촉발된 사태기에 어떠한 경우에도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업계는 김 회장이 검찰과 금융당국의 조사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수사·조사 인력은 현재 검찰과 함께 합동수사팀을 구성해 이번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28일 "지위고하나 재산의 유무 또는 사회적 위치 고려 없이 신속하고 엄정하게 조사하겠다"며 사실상 김 회장에 대한 조사까지 염두에 둔 발언을 했다.
pkh@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