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은행 희망퇴직자 평균 6억~7억 원 받아
은행권 "청년 일자리 창출과 인력 효율화 등을 위해 불가피"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 중 KB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은 지난해 4분기 희망퇴직 비용으로 직원 1인당 3억4400만~4억4300만 원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최근 고금리 여파로 서민과 자영업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은행들은 이자 수익 등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내고 이를 바탕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주요 은행이 지난해 말 이후 퇴직자에게 1인당 평균 6억~7억 원의 퇴직금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윤석열 대통령이 해당 문제를 지적하면서 금융위원회에 관련 대책 마련을 지시한 가운데 '은행 돈 잔치'에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 중 KB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은 지난해 4분기 실적에 희망퇴직 비용을 발표했다. 이들 은행은 희망퇴직 비용으로 직원 1인당 3억4400만~4억4300만 원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은 1인당 평균 3억8200만 원, 신한은행은 3억4400만 원, 우리은행은 4억4300만 원 등이다. 여기에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퇴직할 때 지급하는 법정 퇴직금도 수억 원에 이르면서 1인당 평균 6~7억 원의 퇴직금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하나은행은 올해 1분기 실적에 희망퇴직 비용을 반영할 예정이다. 지난해 1분기 하나은행은 희망퇴직자 478명에게 1637억 원을 지급했으며 1인당 평균 3억4200만 원이었다.
은행별 희망퇴직자 수를 보면 KB국민은행이 71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NH농협은행 493명, 신한은행 388명, 우리은행 349명, 하나은행 279명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은행원들이 수억 원대 퇴직금을 받고 은행을 떠날 수 있었던 것은 금리 인상기 속 이자이익을 크게 늘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이자이익은 39조67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4.5% 급증했다.
정부는 은행권이 벌어들인 막대한 이자이익을 기반으로 희망퇴직을 하는 직원들에게 목돈을 챙겨주는 것에 대해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오전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은행 고금리로 인해 국민들 고통이 크다"며 "은행은 공공재적 성격이 있으므로 수익을 어려운 국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에게 이른바 상생금융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향후 금융시장 불안정성에 대비해 충당금을 튼튼하게 쌓는 데에 쓰는 것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은행의 돈 잔치로 인해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열린 '2023년 업무계획'을 발표에서 "은행은 과점적 구조 형태로 여수신 차익으로 영업이익이 발생하는 특권적 지위가 부여된다"며 "일반기업과 달리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공급이라는 국민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헌우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열린 '2023년 업무계획'을 발표에서 "은행은 과점적 구조 형태로 여수신 차익으로 영업이익이 발생하는 특권적 지위가 부여된다"며 "일반기업과 달리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공급이라는 국민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어려운 시기 일부 고위급 임원에 대한 성과급 규모가 수십억 원 내지는 수억 원 이상이 된다는 것에 국민적인 공감대를 얻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은행권에서는 청년 일자리 창출과 인력 효율화 등을 위해서는 수억 원의 희망퇴직금 지급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희망퇴직은 은행뿐 아니라 모든 대기업에서 시행하고 있고 급여도 다른 대기업들과 큰 차이는 없다"며 "젊은 층을 더 고용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인원이 이렇게라도 선순환되지 않으면 인력 채용도 더 힘든 상황"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