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금융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코빗 리서치센터 "내년 가상자산 시가총액 반등할 것"
입력: 2022.12.05 13:52 / 수정: 2022.12.05 13:52

연구원 4인, 2023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정석문 센터장 "내년도 가상자산 시총, 최대 1조5000억 달러 회복"


국내 가상자산(가상화폐)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가 2023년 가상자산 시장을 전망하는 리포트를 발간했다. /더팩트 DB
국내 가상자산(가상화폐)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가 2023년 가상자산 시장을 전망하는 리포트를 발간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국내 가상자산(가상화폐)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가 2023년 가상자산 시장을 전망하는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리포트는 리서치센터 출범 1년을 맞아 정석문 리서치센터장과 세 명의 연구원이 각자 생각하는 내년도 가상자산 시장 전망을 담았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내년도 시장 전망에 대해 △가상자산 시가총액 반등(정석문 센터장)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 확대(최윤영 연구원) △신뢰도 제고 및 가치 창출(정준영 연구원) △스테이블코인·디파이·전통 금융기관의 시너지 발휘(김민승 연구원) 등 4가지 측면으로 예상했다.

우선 정석문 센터장은 내년도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미국 연준의 통화 긴축 정책에 따른 위험자산 회피 현상에 테라-루나 사태를 비롯해 셀시우스, 3AC(쓰리애로우캐피털), FTX와 같은 시파이(CeFi, 중앙화 금융) 기업들이 몰락하며 한때 3조 달러에 육박하던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현재 8000억 달러 수준으로 줄었다.

그러나 정 센터장은 "가상자산 업계의 투자, 연구 개발, 채용 등은 꾸준히 늘고 있다"며 "이는 2021년 강세장에서 가상자산의 가치를 이해한 계층이 늘어나면서 업계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그간 지속됐던 미 연준의 긴축 정책으로 인해 내년 상반기 중에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안정을 찾음으로써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수요 회복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런 시나리오라면 2023년은 2019년과 유사한 양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 센터장은 "대중들은 2018년 가상자산 폭락으로 인해 2019년에도 그 영향이 이어졌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사실 2019년 한 해의 비트코인 수익률은 92%에 달했다"며 "2019년 초 미 연준은 그 이전까지 여러 차례 단행한 금리 인상을 동결했고 그해 9월에는 보유 채권 축소를 중단하는 등 정책 방향을 선회했다"고 덧붙였다. 정 센터장은 이런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내년도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현재 8000억 달러 대비 1조에서 최대 1조5000억 달러까지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2023년 가상자산 시장이 2019년과 유사한 양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코빗 리서치센터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2023년 가상자산 시장이 2019년과 유사한 양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코빗 리서치센터

최윤영 연구원은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 확대에 주목했다. 특히 기관들이 비트코인뿐 아니라 이더리움에도 관심을 둘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하반기 피델리티는 이더리움 인덱스 펀드를 출시했고, JP모건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한 첫 디파이 거래에 성공했다. 최 연구원은 "JP모건의 디파이 거래 성공은 그간 가스비 문제로 시장에 진입하지 못했던 기관들의 우려를 해소할 가능성이 높다"며 "디파이에 관심을 보여왔던 뉴욕멜론은행(BNY Mellon),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ING와 같은 3개 사가 내년에 디파이 거래에 나설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준영 연구원은 내년에 가상자산 관련 규제들이 구체화하면서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증권성 판단 여부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Ripple) 간의 소송 결과와 지난 6월 루미스와 질리브랜드 상원의원이 발의한 책임 있는 금융혁신 법안(RFIA)의 통과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증권법 적용 여부와 별개로 각종 법안에서 투자자 보호 측면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 통제국(OFAC)의 토네이도캐시 제재가 보여주듯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토콜 자체를 규제 영역으로 편입하려는 시도도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민승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디파이·전통 금융기관의 시너지가 발휘될 가능성을 살펴야 한다고 봤다. 우선 법정화폐 대비 가격 등락이 심한 가상자산은 일반 상거래나 소액 결제용으로 쓰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은 국가나 대형 기관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형태로 대중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넥스트 달러로서 스테이블코인의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USDT 발행사 테더(Tether)와 USDC 발행사 서클(Circle), BUSD 발행사 바이낸스(Binance) 등 3개 사가 치열하게 경쟁하며 스테이블코인 사용처가 늘 것이라고 전망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