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IT >IT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삼성·LG, 미래먹거리 '로봇' 경쟁 본격화..."시장 선점 속도 낸다"
입력: 2022.08.25 13:30 / 수정: 2022.08.25 13:30

로봇 연구 전문 조직 갖추고 제품군 다변화

LG전자가 회사 B2B 홈페이지를 통해 LG클로이 로봇 전문점을 모집하고 있다. /LG전자 홈페이지 제공
LG전자가 회사 B2B 홈페이지를 통해 LG클로이 로봇 전문점을 모집하고 있다. /LG전자 홈페이지 제공

[더팩트|최문정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차세대 먹거리로 낙점한 로봇 분야 경쟁력 제고에 고삐를 죄고 있다. 양사는 조직 개편을 통해 전문 연구·개발 인력을 확보하는 한편, 제품 다변화를 통해 고성장이 예상되는 로봇 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LG클로이 로봇 전문점을 모집하고 있다. 로봇 전문점은 로봇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고객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사용처 및 모델을 추천해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 관계자는 "현재 LG전자의 로봇은 주로 기업간거래(B2B) 채널을 통해 거래되고 있다"며 "B2B 채널에서는 로봇 외에도 다른 제품을 다루기 때문에 전문성이 약할 수 있어 로봇 판매에 집중하는 전문점과 접점을 늘려 판매처를 다변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LG전자는 자체 로봇 브랜드 'LG 클로이'를 보유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2017년 인천국제공항에서 LG 클로이 가이드봇을 시범운영한 것을 시작으로 △LG 클로이 서브봇 2종(서랍·선반형) △LG클로이 바리스타봇 △LG 클로이 셰프봇 △LG 클로이 UV-C봇 △LG 클로이 캐리봇 등 총 7종의 라인업을 갖췄다.

LG전자가 2017년부터 LG 클로이 제품군을 다변화하고 있다. LG 클로이 서브봇, LG 클로이 UV-C봇, LG 클로이 가이드봇, LG 클로이 서브봇(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LG전자 제공
LG전자가 2017년부터 LG 클로이 제품군을 다변화하고 있다. LG 클로이 서브봇, LG 클로이 UV-C봇, LG 클로이 가이드봇, LG 클로이 서브봇(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LG전자 제공

LG전자는 지난 2017년 최고기술책임자(CTO) 산하에 '로봇선행연구소'와 '인공지능연구소'를 각각 신설하고, 전사 차원에서 로봇 관련 역량 개발에 나섰다. 2018년 말에는 최고경영자(CEO) 직속에 로봇사업센터를 갖췄다. 이어 2020년 조직 개편을 통해 상업용 로봇은 비즈니스솔루션(BS) 사업본부 로봇사업담당이, 산업용 로봇은 LG전자 생산기술원이 담당하게 됐다.

관련 투자도 진행형이다. 2018년 산업용 로봇 제조사 '로보스타' 경영권을 인수하며 로봇 제조 역량을 끌어올린 것 대표적이다. 아울러, 최근엔 KT와의 협력을 통해 통신∙네트워크 기술력을 강화하며 로봇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한다는 목표도 밝혔다. 아울러, 로봇 판매 역시 늘려나간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 모델이 CES 2019에서 웨어러블 로봇 GEMS를 시연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모델이 CES 2019에서 웨어러블 로봇 'GEMS'를 시연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도 로봇을 차세대 먹거리로 삼고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사장은 지난 3월 삼성전자 정기주주총회에서 "신사업 발굴의 첫 행보는 로봇사업"이라며 "로봇을 고객 접점의 새로운 기회를 생각하고, 전담 조직을 강화하는 등 로봇을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지난 2020년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이후 1년 만에 이를 로봇사업팀으로 격상시켰다.

삼성전자는 현재 웨어러블 로봇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9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기술 박람회인 CES에서 웨어러블 로봇 'GEMS'를 공개했다. GEMS는 사고나 질병 등으로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돕는 보행보조 로봇으로, 삼성의료원과의 협업을 통해 상용 가능한 수준까지 기술력이 올라왔다는 평가다.

삼성전자가 올해 1월 열린 CES 2022에서 인터랙선 로봇 삼성 봇 아이와 삼성 봇 핸디 등 로봇 제품을 선보였다./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올해 1월 열린 CES 2022에서 인터랙선 로봇 '삼성 봇 아이'와 '삼성 봇 핸디' 등 로봇 제품을 선보였다./삼성전자 제공

아울러 올해 1월 열린 CES 2022에서는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인터랙션 로봇인 '삼성 봇 아이'와 가정용 로봇에 팔을 달아 효율성을 높인 '삼성 봇 핸디' 등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회사는 웨어러블 로봇 GEMS를 비롯한 다양한 로봇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며 "아직 로봇 사업이 완전히 대중화되지 않은 만큼,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필요를 반영한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로봇 사업에 공을 들이는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해당 시장이 괄목할 성장을 이뤄냈기 때문이다. 특히 서비스형 로봇의 성장세가 매우 가파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은 2024년 1220억 달러(약 155조 원)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로봇연맹(IFR) 역시 글로벌 서비스 로봇 시장이 연평균 23% 이상의 고성장을 기록할 것이라 전망했다.

munn09@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