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경제일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세계 100대 ICT 기업 韓 2곳뿐…미·중·일·인도에 뒤져
입력: 2022.07.12 08:47 / 수정: 2022.07.12 08:47

전경련, 세계 ICT기업 시총 100대 기업 분석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세계 100대 ICT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단 2개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세계 100대 ICT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단 2개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더팩트│황원영 기자] ICT(정보통신기술) 강국이라는 타이틀과 달리 세계 100대 ICT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이 단 2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중국, 일본, 인도 등에 한참 뒤지는 수준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기업분석 데이터베이스인 S&P Capital IQ를 통해 세계 ICT기업 시총 100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시가총액 순위로 뽑은 세계 100대 ICT 기업에서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 9위, SK하이닉스 56위 등 2곳에 그쳤다.

반면 미국은 56개로 큰 격차를 벌리며 1위를 차지했고 중국은 9개, 일본은 8개였다. 또 인도(4개)와 대만(3개)도 한국보다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0대 기업 진입 가능성이 있는 200대 기업까지 범위를 넓혀도 한국 기업은 네이버와 카카오를 포함해 5개에 그쳐 중국(27개)과 일본(17개)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었다.

업종 분야를 반도체로 한정했을 때 시가총액 기준 세계 100대 기업에 한국은 SK하이닉스(11위)와 SK스퀘어(63위) 등 2곳만 이름을 올렸다. SK스퀘어가 SK하이닉스의 모회사인 투자기업인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1개사인 셈이다. 반면 중국 41곳, 미국 31곳, 대만 15곳 등이 이름을 올려 경쟁국에 크게 뒤졌다.

우리 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은 7.4%로 경쟁국인 미국(17.1%), 네덜란드(15.4%), 일본(13%), 대만(9.5%)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특히 일본은 2019년 3.5%에 불과했던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을 2년 만에 급격히 늘리며 국가 차원에서 공격적으로 반도체 부활전략을 펼치고 있다.

전경련은 주요국이 반도체에 국가 재원을 적극 투입하는 것에 비해 한국의 상황은 다소 아쉽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이 OECD로부터 제공받은 주요 글로벌 반도체기업의 매출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4~2018년 중국 SMIC 6.6%, 미국 마이크론 3.8%, 네덜란드 NXP 3.1%에 비해 한국은 가장 낮은 수준(삼성전자 0.8%·SK하이닉스 0.5%)을 기록했다.

또 ICT 산업 내 5대 세부 업종별로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을 살펴보면 한국은 모든 ICT 핵심 산업에서 각각 1∼2개 기업만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기준 세계 100대 ICT 기업을 업종별로 구분한 후 가장 많은 기업이 분포한 상위 5대 업종은 △1위 반도체 △2위 앱 소프트웨어 △3위 데이터 프로세싱·아웃소싱 서비스 △4위 시스템 소프트웨어 △5위 IT 컨설팅 순이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비대면 경제가 본격화되며 ICT 상위 5대 업종에 진입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의 100대 기업에 한국은 더존비즈온(74위)과 안랩(82위) 등 2개만 이름을 올렸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톱100 기업이 주로 분포한 국가는 미국 34곳, 중국 32곳, 이스라엘 6곳, 일본 5곳 등이다. 이스라엘, 일본, 폴란드는 100대 기업에 진출한 기업 수는 적으나 기업 1개사 평균 매출액이 높아 실적이 뛰어난 알짜기업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한국이 IT 강국이라지만 세계시장이라는 냉혹한 전쟁터에서의 성적표는 다른 결과를 말한다"며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 속도가 생각보다 느리고 사실상 소프트웨어 분야 경쟁력도 낮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차세대 업종인 사이버안보의 경우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양국 협력을 강조할 정도로 유망한 분야로 예상되는 만큼 한국 기업이 국제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를 비롯해 관련 각종 제도 정비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won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