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 경쟁력 높이기 '한창'…올해 리모델링 시장 '19조 원' 추산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국내 리모델링 시장이 팽창에 맞춰 수주 경쟁력 높이기에 집중하고 있다. /이민주 기자 |
[더팩트|이민주 기자]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리모델링 사업 확장에 열을 올리고 있다. 최근 재건축에 비해 규제가 덜한 리모델링 수요가 크게 늘면서 과거 관련 시장 진출에 소극적이었던 대형 건설사들까지 리모델링 사업 수주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건설사마다 리모델링 사업을 '새 먹거리'로 낙점하고, 조직 재편과 기술개발 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먼저 대우건설은 최근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에 적용할 '특화 평면'을 개발해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대우건설이 개발한 특화 평면은 비확장 발코니와 욕실 및 수납 공간 부족 등 리모델링 전 구축아파트들이 가지고 있었던 여러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개발됐다. 기존 아파트의 구조에 따라 △계단식 관통형 △계단식 일반형 △복도식 1BAY △복도식 2BAY 등 총 4가지 타입이다.
또 대우건설은 지난해 신설된 리모델링TFT를 지난달 '리모델링사업팀'으로 격상하며 관련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수주 목표는 전년 수주액(5721억 원) 대비 40% 신장한 8000억 원이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처음으로 리모델링 사업에 진출했다. SK에코플랜트는 이달 쌍용건설과 함께 인천 부개동 부개주공3단지 리모델링 사업에 참여했다. SK에코플랜트가 재건축·재개발 외에 리모델링 사업에 손을 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앞서 도시정비영업팀에 리모델링 사업을 전담인력을 배치했다.
현대건설은 일찌감치 리모델링 전담 조직을 만들었다. 현대건설은 도시정비영업실 내 리모델링 태스크포스(TF)를 정식 부서인 '리모델링 영업팀'으로 개편했으며, 이후 리모델링 전문 인력을 꾸준히 늘려나가고 있다.
과거 재건축·재개발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대형 건설사들의 참여가 저조했던 리모델링 사업의 입지가 바뀐 것은 최근 시장의 급격한 성장세와 무관하지 않다.
아파트 리모델링은 '전면 철거후 증축'하는 재건축과 달리 '기존 골조를 남긴 채 철거 후 증축하는 방식의 도시정비사업이다. 연한 기준이 재건축(준공 후 30년) 내비 15년으로 짧고, 안전등급 요건도 D등급을 받아야 하는 재건축과 달리 B등급(수직증축)~C등급(수평증축)만 받으면 된다. 여기에 조합 설립 동의율도 상대적으로 낮으며, 기부채납이나 초과이익환수제 적용도 받지 않는다.
업계는 올해 리모델링 발주 물량이 19조 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국내 리모델링 시장 규모가 오는 2025년 37조 원에 달할 것이라 발표했다. /더팩트 DB |
한국리모델링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조합설립을 마친 전국 리모델링 추진 단지는 112곳·9만1684가구다. 이는 지난해 말보다 18단지가 늘어난 수준이며, 지난 2020년(58곳·4만3155가구)과 비교하면 4만8529가구가 증가했다.
시장이 커지면서 국내 주요 건설사의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에서 리모델링이 차지하는 비율도 커졌다. 지난해 현대건설의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은 5조5498억 원이며, 이중 리모델링 수주액만 1조9258억 원(34.7%)이다. GS건설은 각각 5조1437억 원, 1조4176억 원(27.5%)이다. 포스코건설과 DL이앤씨의 지난해 리모델링 수주액은 각각 1조3923억 원, 1조334억 원이다.
업계는 올해 리모델링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 추산 올해 아파트 리모델링 발주 물량은 19조 원대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국내 리모델링 시장 규모가 오는 2025년 37조 원, 2030년에는 44조 원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안전진단 강화 등으로 재건축 사업 문턱이 높아진 가운데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리모델링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을 강화하면서 리모델링으로 방향을 트는 아파트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수도권과 지방광역시의 재건축 연한을 채우지 못한 대단지를 중심으로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아파트가 늘어나는 추세다.
업계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재건축 관련 규제를 완화 발표에도 리모델링 인기가 여전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윤 당선인은 재건축 안전진단 평가 항목 중 구조 안전성 비중을 30%(현행 50%)로 낮추고 주거환경 비중을 30%(현행 15%)로 높이겠다고 했다. 이외에도 안전진단 면제, 기부채납 비중 완화 등을 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재건축 규제 완화는 법 개정 등이 필요한 사안이어서 시간이 꽤나 걸릴 것이다. 이미 리모델링을 추진하기로 하고 절차가 어느정도 진행된 사업지의 경우 지금 재건축으로 선회하기에는 리스크가 크다. 정권이 바뀌고 관련 제도 변화가 명확해질 때까지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당장 리모델링을 추진하던 곳이 안 하겠다고 나설 확률은 낮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 역시 "(재건축으로의) 사업전환은 신중을 기해야 하는 부분이다. 관련 기준이 완화된다고 하더라도 안전진단(D)을 받는 게 쉽지 않고 다시 모든 추진 과정을 새로 진행해야 한다"며 "이미 시공사가 선정된 경우나 사업 지연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사업 전환 과정에서 나타날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 당장 나온 공약만 믿고 사업 방향을 전환할 곳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minju@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