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은 전세대출을 완화하고 있지만, 가계부채 총량관리를 위해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등 다른 대출에 대해서는 빗장을 걸어 잠그는 모양새다. /더팩트 DB |
은행 가계대출 증가율 권고치 근접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금융당국이 전세대출에 대해 총량규제 예외를 적용하기로 함에 따라 은행권에서는 제한했던 대출 영업 일부 취급을 속속 재개하고 있다. 그러나 가계대출 증가율이 한계에 임박한 은행들은 전세대출을 유지하는 대신 전체 대출총량 한도를 맞추기 위해 가계대출 관리를 계속한다는 입장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이날부터 중단했던 전세자금 대출을 재개한다. 앞서 농협은행은 가계부채 증가율이 7%를 넘어서면서 지난 8월 24일부터 전세대출을 포함한 신규담보대출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이러한 NH농협은행의 결정은 금융당국이 4분기 중 취급한 전세대출은 총량관리 한도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것이다.
신한은행도 이날부터 현재 5000억 원이었던 대출모집인 한도를 제한하지 않기로 했으며, KB국민은행도 영업점별로 관리해오던 가계대출 신규취급 한도에서 전세대출을 포함시키지 않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전세대출 한도를 별도로 추가 배정해 실수요자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미 가계대출 증가율이 한계에 임박한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임대차 계약 갱신 시 대출 한도를 전셋값 증액 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방안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29일부터 시행했고, 하나은행은 지난 15일부터 적용한 상태다.
전세대출 완화로 실수요자 숨통은 트였지만, 주요 은행들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금융당국 권고치인 5~6%에 근접하면서 연말로 갈수록 대출절벽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더팩트 DB |
시중은행들은 전세대출을 완화하고 있지만, 가계부채 총량관리를 위해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등 다른 대출에 대해서는 빗장을 걸어 잠그는 모양새다.
우선 하나은행은 오는 20일부터 전세대출 등 실수요자를 위한 대출을 제외한 나머지 대출 신규 취급을 중단하기로 했다. △주택·상가, 오피스텔, 토지 등 부동산 구입자금 대출 △신용대출 △비대면 대출(하나원큐 신용대출, 하나원큐 아파트론)이 대상이다. 비대면 대출은 19일 오후 6시부터 판매를 중단한다.
다만 청년·서민 실수요 자금 지원을 위한 전세자금대출, 집단잔금대출, 부동산담보 생활안정자금 대출, 오토론·새희망홀씨 등 서민금융상품은 계속 취급할 예정이다.
우리은행도 20일부터 일부 신용대출상품의 우대금리를 축소한다고 밝혔다. 우대금리가 축소되면 그만큼 금융소비자들이 받는 최종 대출금리가 올라간다. 즉, 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 증가세를 억제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신규를 비롯해 연장, 재약정도 포함이다.
대상상품은 우리원(WON)하는직장인대출, 우리드림카대출, 우리홈마스터론, 참군인우대대출, 펀드파워론, 시니어플러스우리연금대출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가계부채 관리계획을 준수하고 연말 가계부채 총량을 관리하기 위해 신용카드 사용실적 제외에 따른 금리우대조건을 단순화했다"고 설명했다.
전세대출 완화로 실수요자 숨통은 트였지만, 주요 은행들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금융당국 권고치인 5~6%에 근접하면서 연말로 갈수록 대출절벽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한도는 이미 턱밑까지 차오른 상태다. 지난 7일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대비 4.96% 증가한 703조4416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증가율(6.99%) 기준 연말까지 5대 은행의 대출 한도는 13조5560억 원 정도 남았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은행의 증가율이 7.14%로 가장 높았고, 하나은행 5.23%, KB국민은행 5.06%, 우리은행 4.24% 순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은행은 3.16%로 5대 시중은행 중 가장 낮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전세대출 완화로 어느정도 실수요자들의 숨통은 틔였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그러나 가계부채 증가세는 높은 편으로, 총량 관리를 해야 하는 입장이다. 한 곳이 대출문턱을 높이면 다른 은행도 높일 수밖에 없다. 조만간 전 은행권이 우대금리를 깎거나 대출 한도를 줄이는 등 관리 강도를 높이는 식으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js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