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금융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시중銀·인뱅·상호금고 돈 빌릴 곳 다 막혔다…대출난민 어쩌나
입력: 2021.10.09 00:00 / 수정: 2021.10.09 00:00
정부의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 기조에 맞춰 은행권이 연일 대출 제한에 나서고 있다. 시중은행은 물론 인터넷은행과 2금융권도 대출 창구를 막으면서 실수요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더팩트 DB
정부의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 기조에 맞춰 은행권이 연일 대출 제한에 나서고 있다. 시중은행은 물론 인터넷은행과 2금융권도 대출 창구를 막으면서 실수요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더팩트 DB

대출 절벽 현실화…풍선효과 우려 

[더팩트│황원영 기자] "올해 12월에 이사를 앞두고 주택담보대출 받으려고 하는데 대부분이 안 된다고 해서 걱정입니다. 이미 대출은 마감된 분위기던데 이게 말로만 듣던 대출절벽인가 싶습니다."

"아파트 구입자금으로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시중은행에서는 한도가 낮네요. 보험사나 카드사에서 대출받으면 괜찮을까요? 요즘 대출받기 어렵다던데 내 집 마련 기쁨보다 당장 돈이 부족하니 너무 불안하네요."

정부의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 기조에 맞춰 은행권이 연일 대출 제한에 나서고 있다. 시중은행은 물론 인터넷은행도 대출 창구를 막으면서 당장 돈이 필요한 실수요자가 대출 난민으로 내몰렸다. 일부는 금리가 높은 2금융권으로 몰려들고 있어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이 잇달아 가계대출 상품의 진입 장벽을 높이거나 상품 판매를 중단하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의 경우 전일부터 고신용 신용대출, 직장인 사잇돌대출, 일반 전월세보증금 대출의 신규 대출을 12월31일까지 전면 중단했다. 중신용대출, 중신용플러스대출, 햇살론15, 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은 계속 신청할 수 있으나 추이에 따라 대출 가능 건수가 축소 변경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이미 지난 1일부터 마이너스통장 신규 대출 중단에 들어갔다. 대출 증가속도를 고려한 방침이라는 게 카카오뱅크 측의 설명이다. 케이뱅크도 이날부터 개인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이내로 줄였다.

SC제일은행은 7일부터 주력 주택담보대출 상품 중 변동금리 유형의 신규 접수를 받지 않는다. 퍼스트홈론 가운데 금융채 1년물과 3년물을 기준금리로 적용하는 변동금리 상품 판매가 한시적으로 중단됐다.

우리은행은 연말까지 남은 대출 한도를 한꺼번에 소진하지 않기 위해 지난달 1일부터 지점당 월별 대출 한도를 제한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경우 이달부터 대출 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 한도를 5000억 원으로 제한했다. 당초 신한은행의 모집인 전세대출에는 총액 한도가 없었다.

신한은행은 주요 시중은행 중 가장 여유로운 가계대출 한도를 남겨두고 있다. 하지만 타 은행 대출 중단·축소에 따른 실수요자가 몰리면서 대출 문턱을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은 모집인 채널을 통한 대출 영업을 전면 중단했다.

풍선효과는 지난 5일 출범한 토스뱅크에도 영향을 미쳤다. 토스뱅크는 영업일 기준 3일 만인 7일 오후 2000억 원의 대출을 실행했다. 앞서 토스뱅크는 금융당국으로부터 올해 대출 총액을 5000억 원 이내로 제한하라고 권고받았다. 이미 가능한 가계대출 규모의 절반 가까이 소진한 것이다.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실수요자들이 2금융권으로 몰리면서 상호금고 역시 신규 대출 취급을 제한하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이달 1일부터 조합을 통한 신규 가계대출을 이달부터 전면 중단했다. 비·준조합원은 물론 조합원도 신규 주택담보·전세자금·중도금 집단대출을 받을 수 없다. 농협중앙회는 지난 8월 이미 일부 가계대출을 제한했다.

지난달 말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02조8878억 원으로, 지난해 말(670조1539억 원)과 비교해 4.88% 늘었다. 대출 증가율은 정부 권고치인 연 6%에 근접했다.

은행별로는 신한은행이 3.02%로 대출 여력이 가장 많다. NH농협은행이 7.29%로 가장 높고, 하나은행(5.19%), KB국민행(4.90%), 우리은행(4.0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NH농협은행은 지난 8월부터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집단대출 등 부동산 관련 신규 대출을 전면 중단했다.

대출절벽에 부딪힌 실수요자들의 피해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급전이 필요한 소비자의 경우 카드론이나 보험약관대출 등으로 몰리고 있지만, 카드사와 보험사 역시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규제 기조에 맞춰 한도를 줄이거나 금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취약차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당국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은보 금융감독원 원장은 지난 7일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총량 규제를 타이트하게 관리하는 게 필요하다"며 추가적인 가계부채 대책을 예고했다. 이에 따른 금융권의 대출 옥죄기도 심화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 목표치가 6%이고 내년에는 4%까지 내린다는 게 금융당국의 계획인데 현실적으로 어려운 수준"이라며 "실수요자가 피해를 떠안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won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