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산업/재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결국 '균등감자' 택한 아시아나…금호석화·소액주주 반대 해결책은?
입력: 2020.11.05 00:00 / 수정: 2020.11.05 00:00
아시아나항공이 차등감자가 아닌 균등감자 단행을 결정하면서 거센 후폭풍이 예상된다. /이선화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차등감자'가 아닌 '균등감자' 단행을 결정하면서 거센 후폭풍이 예상된다. /이선화 기자

업계 "사실상 책임회피"…아시아나 "불가피한 과정"

[더팩트|한예주 기자] 자본잠식에 빠진 아시아나항공이 결국 '균등감자'를 선택했다. 관리종목 지정을 피하기 위해 채권단인 산업은행이 감자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지만, 대주주인 금호산업의 경영 실패 책임을 묻는 '차등감자'가 아닌 '균등감자'를 단행했다는 점에서 거센 후폭풍이 예상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아시아나항공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실적 악화에 따른 결손 보전과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3대 1 무상감자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은 액면가액 5000원의 기명식 보통주식 3주를 동일 액면금액의 보통주식 1주의 비율로 병합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자본금은 1조1161억 원에서 3720억 원으로, 발행주식 총수는 2억2320만 주에서 7441만 주로 감소한다.

아시아나항공 최대주주인 금호산업은 6868만 주에서 2289만 주,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1만 주에서 3333주, 금호석유화학은 2459만 주에서 819만 주가 된다. 감자 기준일은 12월 28일이며, 신주 상장 예정일은 내년 1월 15일이다.

감자란 부실기업들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주주 자본금을 줄이고, 그만큼 기업 누적 결손금을 상쇄하는 회계 작업을 말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2092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예정인 가운데, 지난 상반기까지 총 6332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연말을 기준으로 놓고 보면 8903억 원으로 지난해(8179억 원) 보다 적자 폭이 터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깜짝 흑자를 기록했던 아시아나항공이 다시 적자로 돌아서면서 관리종목 지정 가능성은 더 커졌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의 올 2분기 말 자본잠식률은 56.3%에 이른다. 자본금을 까먹는 당기순손실 폭이 커지면 자본잠식률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사태로 순손실이 6333억 원으로 커진데다 부채 또한 12조8405억 원까지 불어나며 현금곳간이 말라버린 상태다.

연말에도 잠식률이 50%를 넘으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완전자본잠식이 되거나 2년 연속 잠식률 50% 이상이면 상장폐지 대상이 되기 때문에 주식 여러 주를 1주로 병합하는 감자를 단행하고 줄어드는 자본금을 자본 잉여금으로 인식해 결손금 역시 이 감자 차익으로 메우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감자를 선택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지만, 균등감자로 인한 소액주주의 반발과 2대주주인 금호석유화학의 법적 대응 등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선화 기자
업계에서는 감자를 선택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지만, 균등감자로 인한 소액주주의 반발과 2대주주인 금호석유화학의 법적 대응 등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선화 기자

관건은 감자 방식이었다. 통상 부실기업의 경우 대주주의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차등감자를 선택한다. 이는 대주주와 일반주주의 감자 비율을 달리하는 방식이다.

2010년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개선 작업)에 돌입했던 금호산업이 좋은 예다. 당시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박삼구 회장 등 지배주주가 보유한 주식을 100대 1로, 금호석유화학 등 소액주주와 채권단 지분을 6대 1로 차등감자 한 바 있다. 대주주에겐 경영 실패 책임을 묻는 동시에 채권단의 지배력을 높여 기업을 정상화하려는 게 차등감자의 목적이다.

이에 이번에도 아시아나항공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을 1대주주인 금호산업에 물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차등감자를 실시해야 한다는 견해가 새나왔다. 일각에서는 완전감자 가능성까지 언급됐다.

문제는 차등감자를 할 경우엔 모든 위험을 사실상 산은이 짊어져야 했다는 점이다. 우선 아시아나항공은 금호산업의 관계기업이다. 종속기업 관계라고 하면 차등감자를 하더라도 모회사가 보유 주식의 평가손실을 당장 반영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관계기업일 경우 대주주는 차등감자로 인한 보유 주식의 손상가치를 재무상태표 자본계정에 기타포괄손익으로 반영해야 한다.

차등감자를 하게 되면 금호산업과 그 연결 실체인 금호고속의 자본금이 줄어들고, 나아가 그만큼 부채비율이 치솟게 되는 것이다. 금호고속이 부실에 빠지면 산은이 지원하는 기간산업안정기금 4000억원도 회수가 어렵게 되는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채권단은 결국 균등감자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영 실패 책임을 금호산업에만 묻는 게 과하고, 책임을 물렸다가 자칫 금호산업까지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기 때문이다. 또 박삼구 회장은 이미 지난해 4월 아시아나항공 경영권 매각을 결정하고 경영에서 손을 뗐다.

하지만 2대주주인 금호석유화학과 기타 주주들의 반대 의사가 거세지고 있다. 특히, 산은은 아시아나항공 구조조정의 실패를 소액주주에 떠넘기려 한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 감자가 결정된 기업의 경우 주가가 추락하기 때문에 실제론 소액주주의 피해가 크다. 실제 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아시아나항공은 전 거래일 대비 13.1% 급락한 313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일부 소액주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호소하는 글을 게재하며 아시아나항공의 감자 결정이 옳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금호석유화학도 배임 등을 피하기 위해선 법적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 금호석유화학은 아시아나항공의 3대 1 균등 무상감자 결정과 관련해 대책 회의를 열고 법적 대응 등 가능한 모든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통상 구조조정 대상이 되면 대주주가 부실 책임 차원에서 차등 감자, 사재출연 등으로 경영 정상화 의지를 보여줬다"며 "아시아나항공은 이미 수년간 재무건전성 위기를 겪어왔는데 이에 대해 대주주가 책임지지 않고 다른 주주들에게 책임을 떠안기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이번 감자에 대해 "경영정상화를 위한 불가피한 과정이고, 주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심한 끝에 나온 방안"이라며 "대주주 지분은 매각결정과 동시에 채권은행에 담보로 제공되었고, 2019년 4월 매각결정 이후 대주주가 회사경영에 전혀 관여하고 있지 않은 점, 거래종결을 앞둔 M&A가 코로나19로 무산된 점 등을 고려해 균등감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hyj@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