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산업 발전을 골자로 한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관심을 끌고 있다. /더팩트 DB |
두산퓨얼셀·DMI 등 에너지 계열사 '관심'
[더팩트 | 이한림 기자] 채권단에 제출한 3조 원 규모의 자구안 이행을 위해 자산 매각을 통한 경영정상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두산중공업이 사업성에 호재가 생겼다.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인 '그린뉴딜'과 두산중공업의 사업 구조 개편 방향이 맞아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서다.
17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국내 에너지 관련 시장이 지난 14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정책에서 친환경 에너지 분야인 그린뉴딜에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 친환경 에너지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개편하고 있는 두산중공업과 친환경 에너지 발전 관련 사업을 하는 두산중공업의 계열사들이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두산주공업의 사업 구조 개편 의지는 최근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의 발언에서 엿볼 수 있다. 박정원 회장은 지난달 11일 전 직원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두산중공업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갖추는 길은 세계 에너지 시장 트렌드에 맞춰 사업구조를 갖는 것이다"며 "다행스럽게도 임직원들의 오랜 노력 끝에 세계에서 5번째로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에 성공했다. 가스터빈 상용화 등 앞으로도 거쳐야 할 관문이 많지만 하나씩 이뤄내면서 친환경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발전해 나가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또한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국내 풍력 발전에 대한 연구개발과 설비보급에 대규모 확대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대규모 풍력 발전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두산중공업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두산중공업은 현재 3MW, 5.5MW급의 풍력 발전 모델을 개발해 보유하고 있고 8MW급 시스템도 국책과제 주관기업에 선정돼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아울러 두산중공업이 사업 규모를 키우고 있는 가스터빈 발전 사업도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시장 확대가 예고되는 그린뉴딜 정책에 따라 회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두산중공업은 최근 수소원료를 기반으로한 가스터빈 연소기 개발에 나서는 등 친환경 에너지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한 사업 구조 변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일환으로 두산중공업은 지난 15일 경남 창원 두산중공업 본사 게스트하우스에서 한국기계연구원과 경남테크노파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13개 산·학·연 기관과 '수소 가스터빈 연소기 개발 및 수소터빈 실증사업화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
두산중공업이 지난해 9월 창원 본사에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의 최종조립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두산중공업 제공 |
두산중공업은 2013년부터 정부가 추진한 한국형 표준 가스터빈 모델 개발 국책과제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5월에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추진하는 '분산발전 가스터빈용 수소 전소 저 질소산화물 연소기 개발'의 주관 기관에 선정됐고, 올초부터 정부가 추진하고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향후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관련 계열사들의 매출 신장도 함께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두산중공업의 에너지 관련 계열사 두산퓨얼셀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도 함께 주목을 받고 있다. 두산퓨얼셀은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을 하는 업체로 시장 전망이 밝은 편에 속해 두산중공업의 자산 매각 후보에서 늘 상위권에 거론됐던 곳이다.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은 역시 수소연료전지드론 사업을 하는 계열사로 친환경 에너지 관련 업체로 각광받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두산중공업이 경영난으로 인해 채권단에 자금을 지원받고 3조 원 규모의 자구안 이행을 위해 자산을 매각하는 등 몸집을 줄이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에너지 발전 사업의 확실한 성공을 단정짓긴 어렵다는 해석도 있다. 정부 정책과 두산중공업의 사업 방향의 노선이 같아도 수익성으로 연결되려면 시장 새태계 조성이 우선시 돼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두산중공업이 자체 발전 사업과 에너지 관련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의 정책에 따라 사업 구조 개편에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다만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시장 규모가 아직 크지 않고 정부도 5년을 바라보고 있는 만큼 시장 확대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높은 발전 비용과 부품의 해외 의존도도 높아 초기 비용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은 지난 14일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오는 2025년까지 16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한국판 뉴딜 계획을 밝혔다. 뉴딜 정책은 데이터·네트워크·클라우드 등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뉴딜'과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산업을 중심으로 한 '그린뉴딜'을 양 축으로, 고용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일자리 190만 개를 창출하겠다는게 주된 골자다. 이중 그린뉴딜에는 70조 원 가량이 투입되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의 경우 올해 12.7GW에서 2025년 42.7GW까지 늘릴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