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경제일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LF '문어발식' 사업확장…성과는 글쎄
입력: 2020.05.13 00:00 / 수정: 2020.05.13 00:00
LF를 중심으로 패션업계가 앞다퉈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지만, 성과 없는 무리한 사업 확장이 실적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이 짙어지고 있다. 사진은 LF 본사 외관. /한예주 기자
LF를 중심으로 패션업계가 앞다퉈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지만, 성과 없는 무리한 사업 확장이 실적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이 짙어지고 있다. 사진은 LF 본사 외관. /한예주 기자

뷰티·식품 등 패션업계 '외도' 움직임 커져…업계 "무리한 M&A 신중해야"

[더팩트|한예주 기자] 패션업계가 앞다퉈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패션시장의 불황을 이겨내기 위해 화장품, 식품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며 수익성과 성장성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가장 먼저 타업종 진출을 꾀했던 LF의 부진한 성적에 다른 기업들조차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이 제기되는 중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패션전문기업 한섬은 화장품 기업인 클린젠 코스메슈티칼(이하 클린젠)의 지분 51%를 인수하며 내년 초 화장품 사업에 진출하기로 했다. 한섬은 시스템, 타임, 마인 등 패션 브랜드를 보유한 패션기업으로 지난 1987년 창사 이래 패션 관련이 아닌 이종 사업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화장품, 리빙 등에 진출한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최근 식료품 제조업, 손세정제 등 의외약품 제조·판매업까지 사업목적에 새로 넣었다.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MLB' 등의 브랜드 사업을 하고 있는 F&F도 최근 벤처 투자 및 기타 금융 투자업에 진출하기로 했다. 영원무역홀딩스은 사업목적에 여행업을 추가했다. 항공권 발권, 국내외 출장 및 여행관련사업시행 등을 위한 목적이다.

남영비비안 역시 지난달 말 정기주주총회에서 76개의 사업목적을 추가했다. 핸드백 및 지갑 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처럼 기존 사업과 연관이 있는 사업도 있지만 도서출판, 인쇄 및 제본업, 물류용역업, 휴게소 운영업 등 기존 속옷 사업과는 전혀 관련 없는 사업이 대부분이다.

패션기업들이 본업과 관계없는 신사업에 진출하는 이유는 패션시장의 한계성 때문이다. 위축된 내수시장에서 새로운 소비층을 찾기 힘들어졌고, 수년간 고가 명품과 저가의 제조·직매형 의류(SPA) 브랜드로 수요가 몰리면서 중간 가격대의 국내 토종 패션회사들이 자금난에 처하는 등 불황을 겪고 있어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업들이 경쟁력이 떨어지는 브랜드를 정리함과 동시에 타 영역으로 진출하고 있다"면서 "수요가 많이 줄어든 패션시장보다는 안정적인 곳에 투자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다른 관계자도 "패션시장은 계절이나 경기 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에 항상 별도의 수익모델을 갖추려고 해왔다"면서 "시장 성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뷰티, 홈퍼니싱 등으로 영역을 넓히려는 움직임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패션업계의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사업 구조의 변화를 꾀한다는 게 업계의 해석이지만, 무리한 M&A가 독이 될수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더팩트 DB
전문가들은 패션업계의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사업 구조의 변화를 꾀한다는 게 업계의 해석이지만, 무리한 M&A가 독이 될수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더팩트 DB

이 같은 전략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기업은 단연 LF다. 지난해 말 기준 LF의 계열사는 모두 41개로, 뷰티·리빙·방송·교육·외식·식자재·주류·부동산까지 대부분 비패션 계열사를 늘리며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중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LF식 모델'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을 던지고 있다. 수년간 패션업계의 불황으로 사업 구조의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충분하지 못한 시장 조사나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인수합병(M&A)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LF는 지난해 매출 1조8517억 원, 영업이익 875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5%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26.8% 감소했고, 당기순이익도 694억 원으로 14.6% 줄었다. 전체적으로 매출은 늘었지만 M&A로 계열사가 늘어남에 따라 판매관리비용이 증가해 전체 연결 실적이 타격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재무 전략에 대한 고민이 깊어진 상황에서 기업들의 도전이 다소 위험해 보인다는 시선도 제기되고 있다. 매출이 두 자릿수 비율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따라 현금 흐름 악화가 불가피할 것이기 때문이다.

업계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는 갖고 있는 현금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기업들의 무리한 M&A는 자칫 회사 재무부담을 가중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며 "지금은 지출해야 하는 비용을 줄이는 것이 우선적이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LF의 전략을 따라가기 보다는 이익을 낼 수 있는 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화장품·홈퍼니싱·문화 사업 등 기존 패션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사업에서 자리를 굳히는 것이 우선 목표"라며 "자칫 주주들의 신뢰도 잃을 수 있는 만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해 보인다"고 답했다.

hyj@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