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산업/재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답 없는 재무상태' 에어서울, 면허 취소 위기 맞을까
입력: 2020.04.09 00:00 / 수정: 2020.04.09 00:00
에어서울이 지난해 완전 자본잠식에 빠지는 등 최악의 재무상황을 맞이했지만, 이렇다 할 해법을 찾지 못하면서 고심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에어서울 제공
에어서울이 지난해 완전 자본잠식에 빠지는 등 최악의 재무상황을 맞이했지만, 이렇다 할 해법을 찾지 못하면서 고심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에어서울 제공

지난해 완전 자본잠식 빠져…코로나19 등에 해법 없다

[더팩트|한예주 기자] 에어서울이 지난해 완전 자본잠식에 빠지는 등 최악의 재무상황을 맞이했다.

2년 연속 50% 이상 자본잠식을 보이며 정부로부터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올해 자본금을 확충하지 못하면 항공사업법에 따라 사업 자체를 중단해야 하는 위기에 처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이마저도 쉽지 않아 에어서울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2년 연속 50% 이상 자본잠식 "사업 중단 위기 왔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에어서울은 지난해 말 자본총계가 -29억 원으로 집계되며 완전 자본잠식에 빠졌다. 매출은 2335억 원으로 2018년보다 5.46% 늘었지만, 순손실은 91억 원을 기록해 2018년보다 304.8% 증가한 탓이다. 특히 부채가 622억 원에서 3732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에어서울은 아시아나항공의 100% 자회사로, 2015년 4월 적자를 내던 아시아나항공의 일본·동남아시아 등 중단거리 노선을 구조조정하기 위해 탄생했다. 그간 에어서울은 노선 확대와 공격적인 마케팅 등으로 여러 차례 흑자전환에 도전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

특히, 설립 이후 해마다 부분 자본잠식 상태로 운영돼 왔다. 구체적으로는 2016년 69.15%, 2017년에는 47.65%, 2018년에는 63.42%의 자본잠식률을 보였다.

2017년 50%를 하회한 것은 당시 국토교통부가 저비용항공사(LCC)를 대상으로 '자본잠식률 50% 이상 3년 지속' 또는 완전 자본잠식의 경우 재무구조 개선 명령을 내리기로 결정한 데 따른 사전 조치였다.

그해 연말 에어서울은 감자를 통해 자본금을 줄이고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유상증자를 통해 250억 원을 수혈한 후 잠식률을 50% 밑으로 낮췄다.

현행법에 따르면 1년 이상 자본잠식률 50%를 초과하거나 완전 자본잠식이 될 경우 재무구조 개선 명령 대상이 되고, 상황이 2년 이상 지속될 경우 면허 취소도 검토된다.

그간 에어서울은 격년으로 자본잠식률 50% 미만을 유지하며 해당 요건을 피해왔지만, 지난해 완전 자본잠식에 빠지며 위의 두 가지 요건 모두를 충족하게 됐다. 업계에서 쫓겨날 수 있는 상황에까지 치달은 것이다.

정부가 당장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내리지는 않겠지만, 업황이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아 에어서울의 위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조규영 에어서울 대표이사. /김세정 기자
정부가 당장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내리지는 않겠지만, 업황이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아 에어서울의 위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조규영 에어서울 대표이사. /김세정 기자

◆ 아시아나 도움도 못 받아…출구 없는 에어서울

에어서울은 설립 이후 줄곧 아시아나항공의 출자를 통해 자본을 늘리며 위기를 넘겨왔다. 아시아나항공은 에어서울 설립 당시 5억 원을 출자한 이후, 그해 10월 145억 원, 2016년 200억 원, 2017년 250억 원 등 약 600억 원가량을 투자했다.

하지만 지금은 아시아나항공도 에어서울을 지원할 여력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지난해 8179억 원의 순손실을 내며 자본잠식이 시작되는 등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결손금 누적으로 자본총계(9083억 원)가 자본금(1조1162억 원) 아래로 떨어졌다. 자본잠식률은 18.6% 수준이다. 부채비율은 1387%로, 전년 649%보다 크게 확대됐다.

이에 에어서울은 올해 안에 아시아나항공의 도움 없이 실적 반등 및 재무개선을 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았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지난해 일본 불매운동에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더해지자 항공 업황이 최악으로 치달았기 때문이다. 도쿄올림픽 연기 소식에 올림픽 특수도 물 건너갔다.

급한대로 에어서울의 경영진들은 급여를 자진해 반납하고 전 직원 90% 이상이 유급휴직을 실시하면서 분투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최근 산업은행으로부터 지원받은 200억 원의 긴급 금융자금 역시 한참 모자라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당장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내리지는 않겠지만 에어서울이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끝내 자본잠식 상태를 극복하지 못하면 항공사업법의 적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항공 업황이 역대 최악인 상황에서 에어서울의 재무상태는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라며 "당장은 아니겠지만 항공사업법을 적용받을 가능성이 높아 발등에 불이 떨어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어서울 관계자는 "현재는 인건비 등을 절감하며 최대한 나가는 비용과 손실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우선은 확정된 게 없어서 공표할 수 있는 사항이 없다. 그동안처럼 모기업의 증자를 검토할 수 있고, 매각으로 인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hyj@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