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행사대행업의 매출액이 작년 대비 평균 최소 75%에서 90%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특별고용지원업종 추가가 요구되고 있다. 사진은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으로 한산해진 서울 지하철 객실 내부 모습./이새롬 기자 |
[더팩트 | 성강현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행사대행업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작년 대비 평균 매출은 최소 75%에서 90%로 감소하였으며, 행사 취소액은 약 3500억 원 정도로 이는 행사대행 산업 자체가 없어질 정도의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이 최근 70여개 조합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코로나19로 대부분의 이벤트회사 매출이 지난해 대비 75% 이상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영상·음향·렌탈회사 등 협력회사는 2월 매출이 제로(0)인 경우도 상당수였다. 그나마 이벤트회사는 1월과 2월에 치른 행사 대금을 2월이나 3월에 받는 경우가 있어 75% 수준의 감소율을 보일 수 있었다.
70여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결과 2∼3월 계획했던 행사 중 1,200개가 취소된 것으로 집계됐다. 2월 예정이던 공공 행사는 400여개, 3월 예정은 900여 개다. 3월 취소행사가 월등히 많은 이유는 3월 행사는 신종 코로나 사태로 발주량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는 일반 기업 행사는 제외한 것으로, 공공 행사의 2∼3배에 달한다는 기업 행사까지 포함하면 최소 3000~4000개의 행사가 취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천안함’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신종플루(H1N1)’ ‘세월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사회적 이슈가 생길 때마다 행사대행업계는 행사취소 혹은 연기로 많은 피해를 봤다. 하지만 지금의 코로나19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기존에는 공공기관행사가 취소돼도 민간 영역인 기업에서 대부분 행사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그때와는 비교자체가 되지 않을 정도로 피해가 어마어마하다. 코로나19는 감염에 대한 불확실성과 두려움으로 사내 회식과 같은 소규모 모임도 터부시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행사 개최는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 일단 행사가 계약된 후 취소돼 일부 비용에 대한 보전을 받을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아예 행사 계약조차 이뤄지지 않아 업계의 피해는 더욱 막심하다.
더 큰 문제는 5월 행사도 벌써 취소 혹은 연기가 결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 이 상태가 3∼4개월 동안 지속된다면 행사대행업체들의 유동성을 감안할 때 업계의 줄도산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가능하다면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통해서라도 생존을 모색해봐야겠으나, 사람의 용역을 대가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행사대행업의 특성상 전문가의 숙련도가 중요해 일시적인 인력 감축도 수월치 않다. 지금도 정부나 지자체의 입찰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 기획서를 작성해야하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는 9일 여행업·관광숙박업·관광운송업·공연업 등 4개 업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행사대행업은 전문 분야별 다양한 협력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이뤄지는 산업이다. 그만큼 낙수효과와 파급력이 좋아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이벤트산업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추가 지정돼야 한다.
danke@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