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손해보험이 금융감독원 종함검사를 앞두고 김준기 전 DB그룹 회장이 구속 수감되면서 오너리스크까지 더해져 위기를 맞았다. 가사도우미를 성폭행하고 비서를 성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준기 전 회장이 25일 오후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치고 법정을 나서고 있다. /김세정 기자 |
금감원, '소비자보호' 등 중점적으로 살필 듯
[더팩트|이지선 기자] 금융감독원 종합검사를 앞두고 있는 DB손해보험이 오너리스크까지 불거지면서 겹악재를 맞았다. 그룹 창업자 김준기 전 DB그룹 회장이 성폭행 혐의로 구속되면서 아들 김남호 DB손보 부사장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2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8일 DB손해보험에 대해 종합검사를 통보했다. 이날부터 다음 달 8일까지는 사전 검사를 진행하고 다음달 25일부터는 본격적인 종합겁사가 진행된다.
금융감독원은 4년 만에 종합검사를 부활시켜 지난 6월부터 금융사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보험사에 대한 종합검사는 소비자보호수준이나 재무건전성, 내부통제 및 지배구조, 시장영향력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필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금감원이 종합검사의 수위를 다소 낮췄다고는 하지만 금융사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검사 대상으로 선정됐다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DB손해보험의 경우 앞서 손해사정 자회사에 대해서도 내부거래에 대한 검사를 받은 적 있다. 이에 더해 최근 민원도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검사 강도가 높을 수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DB손해보험 관계자는 "종합검사는 특별히 문제가 있어서 받는다기보단 전반적인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라며 "지난해 민원 평가 1위 했던 만큼 소비자분쟁이 문제가 됐던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DB그룹은 DB손해보험을 중심으로 DB금융투자, DB자산운용, DB저축은행, DB캐피탈 등 금융권에 핵심 계열사를 뒀다. 현재 그룹은 실질적으로 김준기 전 회장의 장남 김남호 부사장(오른쪽 위)이 이끌고 있다. /DB그룹 제공 |
뿐만 아니라 최근 불거진 오너리스크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김준기 전 DB그룹(옛 동부그룹) 회장은 지난 23일 귀국과 동시에 경찰에 긴급 체포됐다. 김 전 회장은 비서와 가사도우미를 성추행·성폭행한 혐의로 고소를 당한 바 있다.
김준기 전 회장은 그간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미국에 머무르며 소환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이에 경찰은 인터폴 공조 등을 요청하며 압박을 가했고 귀국 즉시 김 전 회장을 체포했다. 검찰 또한 24일 그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김준기 전 회장이 회장직에서 물러나긴 했지만 현재는 김 전 회장 장남 김남호 DB손보 부사장이 실질적으로 DB그룹을 이끌고 있기 때문에 지배구조 리스크가 남아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금감원이 종합검사를 통해 지배구조에 대해서도 들여다보는 만큼 오너 일가와 관련된 리스크가 말끔히 해결되지 않는다면 당국으로부터 지적을 받을 수 있다.
김남호 부사장은 현재 DB손보 지분 8.3%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앞서 김 부사장은 김준기 전 회장이 갑작스레 여러 의혹으로 물러나면서 경영권을 승계받게 됐다. 이에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도 잡음이 나왔던 바 있다.
김남호 부사장은 지난해 초 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그룹 전면에 나섰다. 하지만 부장에서 부사장까지 올라가는데 3년 밖에 걸리지 않아 '초고속 승진'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당시 DB그룹 측은 다른 기업 오너들과 비교해 볼 때 빠른 승진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김 부사장이 DB금융연구소를 이끌면서 이룬 성과를 일일이 공개하지 않은 것 뿐이라는 입장이다.
또한 DB손보가 DB그룹 지배구조 중심에 있어 영업에 중요한 이미지에도 타격도 불가피하다. DB그룹은 회장 성추행 의혹이 나온 이후 '동부'에서 'DB'로 상호를 바꿔 이미지 쇄신에 나선 바 있다.
한편 김준기 전 회장은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김 전 회장의 변호인 측은 "성폭행 사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2017년 1월 이 문제가 외부에 알려지는걸 피하고자 민형사상 모든 문제를 제기하지 않겠다고 합의하고 피해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며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측에서 합의를 깨고 고소한 것에 이어 거액을 주지 않으면 언론이나 청와대 등에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밝힌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김 전 회장은 25일 법원이 영장을 발부해 구속수감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