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가상화폐 요즘은下] 글로벌 기업도 뛰어든 가상화폐, 전망은?
입력: 2019.08.11 06:00 / 수정: 2019.08.11 06:00
지난해 초 열풍으로 가격 등락폭이 심했던 가상화폐는 최근들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오히려 국내는 거래량이 감소하는 추세다. /더팩트 DB
지난해 초 '열풍'으로 가격 등락폭이 심했던 가상화폐는 최근들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오히려 국내는 거래량이 감소하는 추세다. /더팩트 DB

'존버', '흑우' 등 여러 유행어를 낳기도 했던 가상화폐(암호화폐) '열풍'이 다소 잠잠해지면서 안정세를 되찾았다. 한때는 '위험자산'의 대표로 꼽히던 가상화폐(암호화폐)가 급등하는 현상을 보이면서 적극 투자에 나서는 이들도 생겨났다. <더팩트>에서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는 가상화폐의 향후 호재와 악재는 무엇이고 전망은 어떨지 분석해본다. <편집자주>

화폐도 대신할 것vs아직 불안정

[더팩트|이지선 기자] 가상화폐가 돌풍을 일으킨지 1년 반이 지난 현재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에 따른 가치나 세계적 기업의 투자 추이도 무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전문가들도 당장은 아니지만 먼 미래에는 실제로 화폐를 대신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투자자 불안도 여전하다. '제도권'에 오르지도 못했을 뿐더러 자금세탁이나 해킹 등을 막을 규제도 변변치 않다는 시각에서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는 지난해 초 불었던 '비트코인 열풍' 이후 가격 등락폭이 커져 신뢰를 잃기도 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가격은 광풍이 불던 지난해에 비해 다소 안정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뉴시스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가격은 '광풍'이 불던 지난해에 비해 다소 안정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뉴시스

◆ '떡락'·'떡상'은 없다…가격 안정세로 '제도권' 올라서나

가상화폐의 가장 큰 단점은 '변동성'으로 꼽힌다. 규제 한 줄과 논평 한 줄에도 가격이 큰 폭으로 움직였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초 한국에 '붐'이 일면서 국내 가상화폐 시세가 해외 가상화폐 시세보다 비싼 '김치 프리미엄'이 붙기도 했던 터라 가상화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다소 남아있는 상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가상화폐거래소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올해 6월 이후 거래량 총액 1위인 비트코인의 가격은 1만 달러선을 넘으면서 하한선을 형성하고 있다. 두번째로 거래량이 많은 이더리움도 올해 초부터 200달러 후반~300달러 초반을 오가며 안정적인 추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각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경영 관련 이슈나 정보 보안 이슈가 터져나올때마다 가격 그래프가 춤을 추기도 했지만 이제는 이런 추세는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거래소 이슈와 가상화폐 시장이 점차 별도로 움직이기 시작한 셈이다. 지난 7일(현지 시간)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텔레그램을 통해 고객 가상화폐 거래 정보가 유출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가상화폐 시세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여기에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이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들겠다고 하면서 상향 안정세는 더욱 지속되는 분위기다. 페이스북은 '리브라 프로젝트'를 통해 가상화폐를 직접 내놓고 결제 툴로 활용할 계획을 내놨다. 세계적으로 '제도권'에 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가격은 더욱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다시 리브라 프로젝트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이 역시 시세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또 과거 정치권에서 관련 규제에 대한 발언만 해도 가격이 떨어지던 때와는 달리 최근에는 오히려 규제 언급이 될 때마다 '호재'로 작용하기도 한다. 제도권 금융으로 올라서면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더욱 널리 알려지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회는 가상화폐가 붐을 일으켰던 지난 2017년 말 가상화폐 거래에 관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올해 초 특금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지만 아직 계류중이다. 사진은 지난 2017년 말 국회 정무위원회의 가상화폐 관련 공청회 현장. /더팩트 DB
국회는 가상화폐가 '붐'을 일으켰던 지난 2017년 말 '가상화폐 거래에 관한 공청회'를 개최하고, 올해 초 특금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지만 아직 계류중이다. 사진은 지난 2017년 말 국회 정무위원회의 가상화폐 관련 공청회 현장. /더팩트 DB

◆ 지급결제수단까지 내다보지만…국내 '제도권'은 언제쯤

세계적으로는 지급결제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관련 불안감이 높다. '김치 프리미엄'도 불안감 조성에 한 몫을 했지만 국내에서는 가상화폐를 정의하는 간략한 법률 조차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가상화폐가 거래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일단 이를 규정하는 법이 있어야 한다. 지난 3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특정금융거래정보 보고 및 이용에 관한 법(이하 특금법)' 개정안을 발의해 가상화폐 정의 및 거래소 의무 규정 등을 추진했다. 하지만 그 이후 국회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관련 법도 수면 아래로 잠기고 말았다.

이런 불안감 탓에 은행에서도 기존 계좌를 가상화폐 거래에 이용할 수는 있지만 가상화폐 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계좌는 '한도 제한'에 묶이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4대 거래소는 각각 시중은행과 실명 계좌 등록 제휴를 맺고 6개월에 한 번씩 계약을 갱신하고 있다. 빗썸과 코인원은 NH농협은행, 업비트는 IBK기업은행, 코빗은 신한은행과 최근 계약을 갱신했다. 하지만 은행에서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 계좌를 개설하겠다"는 목적으로 계좌를 개설하면 일일 거래 한도 제한이 풀리지 않는다. 이미 개설된 계좌를 등록할 수는 있지만 투자 자체를 목적으로 계좌를 개설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판단이 아직 남아있는 셈이다.

은행들은 앞으로 더 몸을 사릴 수 있다. 국제자금방지세탁기구(FATF)가 국내 은행에 대한 점검을 실사에 나서기도 했고, 가상화폐거래소를 대상으로 자금세탁 방지 의무를 강화한 성명서를 채택하면서 더욱 규제를 강화하는 면모를 보였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실명 계좌를 열어주지 않으면 가상화폐를 살 길이 막힌다.

이런 인식 탓에 현재 국내에선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다소 떨어져 있다. 한때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량 상위 국가에 이름을 올리면서 시세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지금은 미국과 중국이 가상화폐 거래량도 월등하고 관련 기술 개발이나 규제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가상화폐가 결제 수단으로 쓰이기에 국내 결제 환경은 신용카드가 워낙 편리하게 자리를 잡고 있고, 아직 제도 마련도 되지 않아서 어려울 것 같다. 차라리 바코드 기반의 간편결제가 활성화된 중국 시장에서 최근 지급결제수단으로의 가상화폐가 주목받고 있는 분위기"라며 "세계적으로 안정적인 결제 수단으로 떠오르면 국내도 따라가는 분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tonce51@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