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이 지난달 27일 이사회에서 자본확충 필요성을 보고하고 다양한 증자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교보생명 본사. /더팩트 DB |
2012년부터 상장 고민…입찰제안요청서 발송
[더팩트ㅣ이지선 기자] 생명보험업계 상위 3개사 중 하나인 교보생명이 자본 확충을 위해 기업공개(IPO)나 계열사 매각 등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IPO를 통한 주식시장 상장은 지난 2012년부터 투자자들에게 약속했던 사안인 만큼 이번에는 그 약속이 지켜질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오는 2021년부터 적용되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지급 여력 제도(K-ICS·킥스)를 앞두고 자본 확충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있다. 지난달 27일 이사회에서는 기업공개(IPO)나 신종자본증권 발행, 계열사 매각 등으로 자본을 마련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교보생명이 증자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IFRS17와 킥스 도입에 대비한 것이다. 두 제도가 도입되면 저축성 보험은 고객에게 '돌려줄 돈'으로 평가받아 부채로 인식된다. 생명보험사에서 저축성 장기 보험이 주력상품이었던 만큼 이로 인해 부채가 늘어나면 재무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에 교보생명은 지난해부터 자본확충 움직임을 보여왔다. 지난해 보험업계 최초로 해외에서 5억 달러(한화 약 560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면서 지급여력비율을 끌어올린 것이다. 지난 7월에도 10억 달러 규모의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검토한 바 있다.
이외에도 교보생명은 교보증권 등의 계열사 매각, IPO 등의 수단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중에서도 IPO에는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보생명이 6년 전인 지난 2012년 회사 지분 24%를 사모펀드 재무적투자자들에게 매각하면서 2015년 9월까지 회사를 주식시장에 상장시키겠다고 약속한 바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교보생명의 자본확충 방안으로 기업공개가 이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더팩트 DB |
시장에서는 이제 교보생명이 IPO를 더 미룰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사모펀드 어피니티와 IMM, 베어링, 싱가포르투자청 등으로 구성된 어피니티 컨소시엄은 당시 상장으로 투자금을 환수하는 조건으로 교보생명에 대한 투자에 나섰다. 하지만 교보생명의 기업공개가 미뤄지면서 통상적인 사모펀드의 자금 회수 기간으로 여겨지는 3~5년이 지났다.
교보생명은 현재 국내외 증권사에 상장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현재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 IPO 시기나 방식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면서도 "아직 상장 시점을 정했다거나 명확한 계획이 나온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금이 IPO를 하기에는 그다지 좋은 시점이 아니라고 보고 있기도 하다. 최근 주식 시장에서 보험업종의 약세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채권시장에서도 금리가 오르며 투자가 활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상장한 생명보험사 들도 ING생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공모가 아래로 주가가 떨어진 상태다.
교보생명도 시장 상황을 전문적으로 살피고 있는 상황이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아직 킥스 도입 방안이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은 만큼 필요 자본 규모 등이 부정확한 상황"이라며 "업계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해 IPO를 포함한 증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면서 효과적인 자본확충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atonce51@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