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TF초점] '서울페이' 등장에 금융권 '술렁'…은행·카드업계 시각은
입력: 2018.07.31 13:47 / 수정: 2018.07.31 13:47
서울시가 수수료가 없는 결제서비스를 연내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금융권이 다양한 반응을 내놓고 있다. /더팩트 DB
서울시가 수수료가 없는 결제서비스를 연내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금융권이 다양한 반응을 내놓고 있다. /더팩트 DB

'서울페이', 실효성 있을까? 고객 이용도가 '관건'

[더팩트ㅣ서민지 기자] 서울시가 '수수료 제로'인 '서울페이'를 출시하기로 하면서 금융권이 술렁이고 있다. 실효성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서울페이'를 바라보는 은행과 카드업계의 시각도 다양하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수수료 0원'의 결제서비스를 연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소상공인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에서 계획됐다.

'서울페이'는 스마트폰 앱으로 QR코드를 찍으면 모바일페이를 통해 결제가 되는 간편결제 시스템을 말한다. 소비자가 판매자의 QR코드를 찍고 결제금액을 입력하거나 판매자가 매장 내 결제 단말기에 있는 QR리더기로 소비자의 스마트폰 앱의 QR코드를 찍는 방식으로 결제가 진행된다.

가장 큰 특징은 수수료를 없앴다는 것이다. 기존 카드 결제 시 밴사, 카드사 등을 거치며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서울페이'는 계좌이체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 등 결제플랫폼 사업자와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은행들은 수수료를 면제해주기로 했다.

이번 사업으로 '공동QR'을 개발하고, '허브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 어느 가맹점에서도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현재는 가맹점별로 이용할 수 있는 결제플랫폼이 다른 데다 플랫폼마다 다른 QR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시에 이어 부산·인천·전라남도·경상남도 등도 연내 시범운영에 들어가고, 2020년까지 전국으로 확산될 예정이다.

서울페이를 시작으로 부산·인천·전라남도·경상남도 등도 연내 시범운영에 들어가고, 2020년까지 전국으로 확산될 예정이다. /더팩트 DB
서울페이를 시작으로 부산·인천·전라남도·경상남도 등도 연내 시범운영에 들어가고, 2020년까지 전국으로 확산될 예정이다. /더팩트 DB

서울페이의 성공 여부에 가장 주목하는 곳은 카드업계다. '공공페이'의 판이 커질 경우 가장 많은 타격을 받을 곳은 카드사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소비자에게 얼마나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을지다. 서울시는 소득공제율을 최대 40% 적용하고, 각종 공공 문화체육시설 할인혜택 등으로 소비자들의 이용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하지만 소비자가 카드 혜택을 뒤로하고 간편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유인은 크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한 신용공여 기능이 없다는 점도 고객 유인을 막는 요인으로 꼽힌다. 체크카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계좌에 있는 금액만큼만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용카드가 주는 편의성을 대체하기 힘들다는 의견이다.

카드업계의 한 관계자는 "신용카드는 여유 자금이 없어도 결제가 가능하지만, 서울페이는 보유한 돈에서 결제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카드 혜택을 뛰어넘을 유인책이 마련될 수 있을지도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은행권에서도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나온다. 하지만 수수료 면제에 대한 타격보다는 기대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일각에서 '서울페이' 도입으로 은행권이 수수료 이익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지만, 고객 유입, 저비용성 예금 확대 등 긍정적인 면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비대면 활성화로 모바일뱅킹 등에 따른 계좌이체 수수료가 없는 경우가 많다"면서 "체크카드처럼 계좌에 잔금이 있어야 결제가 가능한 만큼 오히려 고객 유입이나 저비용성 예금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권이 공동으로 나선 만큼 수수료 금액이 크지 않아 당장 수수료 면제에 따른 부담은 없다는 분위기"라면서도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규모가 커질 경우 부담이 생길 수 있어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jisseo@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