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경제일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현대차 '운명 가를' 조합원 투표 'D-DAY' 향방은?
입력: 2018.01.15 10:37 / 수정: 2018.01.23 15:53
현대자동차 노조가 15일 전체 조합원 5만여 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일 노사 대표가 도출한 임금과 단체협약 2차 잠정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시작했다. /더팩트 DB
현대자동차 노조가 15일 전체 조합원 5만여 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일 노사 대표가 도출한 임금과 단체협약 2차 잠정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시작했다. /더팩트 DB

[더팩트 | 서재근 기자] 지난해부터 지속한 노사 간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사상 처음으로 해를 넘긴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 노사 간 임금과 단체협약(이하 임단협)의 운명을 결정짓는 조합원 투표가 15일 시작됐다.

1차 잠정합의안 도출 이후 조합원들의 반대표로 협상이 물 건너간 현대차로써는 이번 투표가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지배구조개선 압박, 중국 및 글로벌 시장 재정비, 친환경차 개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재해 있는 상황에서 이번 투표 결과에서 합의점 도출에 실패할 경우 한 해 농사를 추진하는 데 제동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현대차 노조는 이날 전체 조합원 5만여 명을 대상으로 임단협 2차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를 시작했다. 울산 공장은 오후 5시 30분까지, 나머지 공장 및 사업부는 현장 상황에 맞춰 투표를 시행한다. 이번 투표에서 전체 투표 참가자 과반이 찬성표를 던질 경우 지난해부터 끌어온 양측 간 힘겨루기는 마침표를 찍게 된다.

우선 현대차 측에서는 가결 쪽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양측 모두 회사가 직면한 대내외적 불확실성에 공감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지난 10일 2차 잠정합의안 도출 당시 현대차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파업에 따른 피해가 더 이상 확산해서는 안 된다는 노사의 공통 인식이 있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아울러 장기화한 파업에 따른 임금 손실 역시 '찬성표' 쪽에 힘을 실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금까지 노조가 단행한 파업횟수는 지난해 19차례, 올해 들어서만 다섯 번에 걸쳐 모두 24차례에 달한다. 회사에서 입은 손실은 차량 8만4300여 대, 1조7800여억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일을 하지 않는 시간 만큼 임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하면서 조합원들의 부담 역시 덩달아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지속하고 있다.

이번 찬반투표에서 전체 투표 참가자 과반이 찬성표를 던질 경우 지난해부터 끌어온 노사 양측 간 힘겨루기는 마침표를 찍는다.
이번 찬반투표에서 전체 투표 참가자 과반이 찬성표를 던질 경우 지난해부터 끌어온 노사 양측 간 힘겨루기는 마침표를 찍는다.

반면, 일각에서는 협상 타결이 어려울 것이란 '흙빛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지난해 말 도출된 1차 잠정합의안과 이번 2차 잠정합의안의 주요 내용에서 사실상 큰 차이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현대차 노사는 1차 잠정합의안에서 ▲자동차산업 위기를 반영한 임금·성과금 인상 자제 ▲사내 하도급 근로자 3500명 추가 특별 고용 ▲2019년까지 사내 하도급 및 직영 촉탁 계약직 50% 감축 ▲중소기업 상생 방안 마련 ▲4차 산업혁명 대응 관련 노사공동 협의체 구성을 기본 골자로 기본급 5만8000원 인상(정기승호, 별도승호 포함), 성과금 및 격려금 300% + 280만 원, 중소기업 제품 구입 시 20만 포인트 지원 등 세부 협상안에 합의했다.

이번 2차 잠정합의안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상품권 20만 원을 추가 지급한다는 조항이 추가된 정도다. 문제는 새로 추가된 조항으로 1차 잠정합의안 찬반투표에서 '반대표'를 던진 조합원들의 마음을 돌릴 수 있는지 여부다. 지난해 말 5만890명을 대상으로 한 찬반투표에서는 4만5008명(투표율 88.44%)이 투표에 참여, 과반(50.24%)인 2만2611명이 반대표를 던진 바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의 임단협 투표 결과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면서 "지난해 중국발 무역보복으로 직격탄을 맞는 등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를 보냈던 만큼 노사 양측이 위기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면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겠지만, 노조 내부에서 1차 잠정합의안과 비교해 '성과가 없다'는 분위기가 확산할 경우 그 반대의 결과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likehyo85@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